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삶의 양식’의 통제 효과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지닌다. 첫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제도 도입 이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정도는 어떠하며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어...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지닌다. 첫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제도 도입 이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정도는 어떠하며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삶의 양식’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삶의 양식’이 통제변수로써 통제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고충을 최소화하고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 사회복지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을 위한 정책 방향의 근거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16년 07월 13일부터 09월 26일까지 총480부를 배포하여 377부를 회수하였고, 최종적으로 30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석을 진행하였고, 표본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삶의 양식의 유형별로 집단을 나누고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특성 중 기술다양성과 과업정체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과업중요성과 자율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무특성의 영향력을 고려한 직무 재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주된 삶의 양식은 평등주의이고, 개인주의가 일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계층주의, 운명주의 삶의 양식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관계에 따라 다양한 삶의 양식이 상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주의와 운명주의보다 평등주의와 계층주의의 삶의 양식을 지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네 개의 삶의 양식 중 평등주의가 직무만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특정 삶의 양식의 육성 내지는 변화를 위한 전략적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양식 별로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관계도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평등주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과업중요성만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직무특성 중 과업중요성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개인주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무만족과 유의한 관계를 형성한 직무특성은 없었으나, 자율성이 비교적 유의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그 영향력을 일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특성과 삶의 양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인적자원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d three purposes. First, it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lso examine to what extent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ould influence their job satisfac...

This study had three purposes. First, it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lso examine to what extent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ould influence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it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ways of lif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nalyze whether their ways of life would have control-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ultimately aimed to lessen the di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draw lessens for the effective HR management plan.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to the social welfare offici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ollected back 377 of total 480 distributed copies from July 13th 2016 to September 26th 2016, and used final 305 copies for analyse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es were applied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sample group. Also, the sample group was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way of life’ types, and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ub-group. In addition, the technique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es, among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skills variety' and 'task identity' showed negative(-) effects while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showe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However, 'feedback' was not meaningful.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 re-designs based on the differential consideration of job characteristics be need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In terms of the 'ways of life', the main way of lif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egalitarianism. Individualism appeared as the second way of life type of the officials. However, hierarchy and fatalism were only minor way of life types. Thes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ways of life’ could be in existence according to individual values and social relations. Social welfare officials who had egalitarianism and hierarchy reveal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social welfare officials who had individualism and fatalism. Also, egalitarianism appeared to most positive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These results imply that we may need to promote some kinds of strategic management for enhancing particular way of life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The types of way of life also could mak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First, with the egalitarians, only 'task significance' showed meaningful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with the individualists, there was no job characteristic that show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However, with the individualists, sinc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autonomy' appeared relatively low, the influence of 'autonomy' might be considered with care. In sum, the analyses of this study imply that we need to develop HR management tool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both job characteristic and 'ways of life' for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