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상실 맏이의 부모화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성인초기 여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ental loss firstborn’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elicit common meanings which vividly express the experience.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6 parental loss firstbor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ental loss firstborn’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elicit common meanings which vividly express the experience.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6 parental loss firstborns and analyzed them through Smith., et al(2009)'s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how does parental loss firstborn understand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what is the meaning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of parental loss firstborn?' The result of the analysis drew 4 themes and 10 sub-themes. The 4 themes were revealed as 'Life without leaning', 'Family is the absolute criteria to be protected', 'suppressed another self', and ‘the old wound that just begins to cicatrize.’ Also, the experience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themes through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key finding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the key factor for parental loss firstborn to be parentified to experience parental loss. Second, parental loss firstborn showed restricted request for specific help in the growth process including Parentification experience which led them to be isolated. Third, parental loss firstborn reached internal maturation and growth process through Parentificatio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specialized therapeutic intervention in parental loss firstborn’s Parentification experience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ir unique experience by in-depth explor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shall be consideration of the social cultural context in Korea on the process of firstborn's Parentification.

연구의 목적은 부모상실 맏이가 경험하는 부모화 경험을 탐색하고 해석함으로써 이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그를 생생하게 드러내는 공통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

연구의 목적은 부모상실 맏이가 경험하는 부모화 경험을 탐색하고 해석함으로써 이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그를 생생하게 드러내는 공통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화 경험을 한부모상실 맏이 6명을 심층면접하고, 수집된 자료를 Smith, 등(2009)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의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부모상실 맏이는 부모화 경험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부모상실 맏이의 부모화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기댈 틈 없는 당연한 삶’, ‘가족은 지켜내야 할 절대적 기준’, ‘억누름으로 묻어 둔 또다른 나’, ‘비로소 새 살로 돋아오른 오래된 상처’로 나타났다. 또한, 주제를 중심으로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를 통해 경험을 생생하게 기술하였다. 본 연구결과 부모상실 맏이의 부모화 경험에 나타난 논의점은 첫째, 부모상실 맏이가 부모화되는 데에는 부모를 상실하게 되는 경험이 중요한 요인임이 드러났다. 둘째, 부모상실 맏이는 부모화 경험을 포함한 성장과정에서 구체적인 도움 요청이 제한적이며 그에 따라 고립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상실 맏이는 부모화 경험을 통해 내적인 성숙과 성장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상실 맏이의 부모화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이들의 고유한 경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상담적 도움 및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맏이가 부모화 경험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사회문화적인 맥락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