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도시박물관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건축과 도시의 변천과정을 체감하게 할 수 있는 전시물품, 모형, 유물 및 영상물 그리고 건축가의 창작과정에서 생성되는 자료 및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수장, 전시할 수 있는 ...

연구는 건축과 도시의 변천과정을 체감하게 할 수 있는 전시물품, 모형, 유물 및 영상물 그리고 건축가의 창작과정에서 생성되는 자료 및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수장, 전시할 수 있는 건축도시박물관의 프로그램공간구성 분석에 관련된 연구를 통해 건축도시박물관 건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건축박물관 또는 건축전시관이 선진국인 OECD국가에서는 벌써 20∼30년 전부터 활발하게 건립하고 있으며 또한 확장되는 것이 추세로 보인다. 최근 들어 건축도시박물관이 필요하게 된 데에는 그 자료들의 팽창과 사회적 수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건축에 관한 문헌이 여러 관리 주체에 따라 분산하여 보관되어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디지털 관련 서비스 분야에서는 각 관리주체에서 향후 링크가 절실히 필요할 것 이라고 사료된다. 건축은 흔히 한도시의 문화와 역사를 가장 잘 반영해 주는 분야로 널리 인지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본국의 건축 및 도시 분야의 문화 및 기술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 및 도시 분야 자료의 수집 및 관리가 이루어지며,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강조된 박물관을 운영하면서 자국의 건축문화를 보존하고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내 총 생산량에서의 건설 산업이 차지하는 점유율에 비해 문화적인 이해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문화 선진국의 지나온 역사를 관찰해 볼 때 국가가 선도하고 지원하는 건축도시박물관의 보유여부와 효과적인 평생교육기관의 운영은 국가 문화산업균형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 및 도시적 저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높이 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국민적 문화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는 점은 새로운 시대적 과제이기도 하다. 조사방법으로는 선행논문을 통해 국내 건축도시박물관 및 유사 시설의 현황을 살펴보고, 건축도시박물관 및 관련시설의 규모와 시설이 적합한 사례로 제한하고 문헌조사, 연감조사 및 웹 조사 등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해외 건축도시박물과 및 관련시설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기초로 건축도시박물관의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각 시설별 면적, 소요 공간 등을 통계하여 도출하고 그 면적비율을 산출하여 평균적 데이터를 통해 실질적인 건축계획 및 설계안을 계획하였으며 분석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건축도시박물관을 보유하여 효과적인 평생 교육기관으로 운영하며 국가 문화 산업의 균형을 이루고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저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축적하고, 관리하여 국민의 건축 및 도시 분야의 문화수준을 높일수 있는 핵심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 둘째, 건축도시박물관의 공간구성에 있어 단순히 건축 및 도시의 주제로 전시만 하는 것을 벗어나 다양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각자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혹은 연구프로그램으로 대응해야 하며 또한 수집된 유물에 맞은 복원프로그램 및 수장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할 역할이 필요한 건축도시박물관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건축도시박물관의 공간구성비에 있어 전시영역은 (20% ~ 30%), 수장영역은 (15% ~ 25%), 연구 및 교육영역은 (10% ~ 20%), 운영 및 관리영역은 (5% ~ 15%), 서비스영역은 (5% ~ 15%), 공공영역은 (5% ~ 15%)로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해외 건축도시박물관 및 관련시설의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을 이해하고 국내의 현황을 파악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여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있어서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서울건축도시박물관의 신설계획을 할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의 추가와 공간구성의 재구성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공간운영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worth studying on providing direction to build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through study about analyzing the programs and space composition of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where effectively collects, exhibits, and store...

This research is worth studying on providing direction to build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through study about analyzing the programs and space composition of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where effectively collects, exhibits, and stores displays, model, and images show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architecture and city and data 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reative process of architects. It has been a recent trend for architecture museum and architecture materials exhibition which have been widely constructed about between 20 and 30 years ago to be expanded more and more. And, reasons why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s recently needed can be founded in the expansion of the material and social needs. It is considered that literature on architecture currently distributed and stored according to several management authorities should be managed as one, especially, it is urgently required for each management authority to be linked with services sector related to digital. Architecture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important fields represent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city. All countries of the world has been collecting and managing the data on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ultural grounds of their own architecture and city filed and operating and utilizing the museum highlighted with the exhibits and education programs as a base for the conservation and spread of their own architectural culture. In Korea, cultural understanding in comparison with the shar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gross domestic product (GDP) is relatively low. Whether or not there is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led and supported by a country and its operation as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are a major factor in the balance of national cultural industries when thinking about a past history of culture advanced countries. S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r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national culture level, at the same time, and accumulate and manage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Korea’s potential energy in architecture are new periodic subject. This study is scheduled to proceed analyz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yearbook and literature, web research, and etc with looking at the situation of domestic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its similar facilities through the preceding and limiting the data to be appropriate cases for the size and facilities of the related facilities. Also, it also intended to set standards for the practical planning and design in architecture and present the basic data through the average data by drawing statistics for space requirements, area, and etc per each facility and calculating the percentage by understanding the program in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analyzing the space compositio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btained afte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foreign countries and its relevant facilities. First, as an effective lifetime educational institution possessed by the Museum of Architectural City Museums, we will balance the national cultural industry, so we will accumulate competitiveness based on Japan's architectural bottom powers, manage it, and build a citizen's architectureAnd establish and operate an important mechanism that can enhance the cultural level of the urban field. Secondly,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al city museum,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simply exhibiting architecture and urban themes, and if it is appropriate for a variety of users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research programs There is also a need for a building and urban museum in whi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restoration program and a collec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relics. Third, the exhibition area (20% to 30%), the long area (15% to 25%), the research and education area (10% to 20%) The management area (5% to 15%), the service area (5% to 15%) and the public area (5% to 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to draw up problems and to make a rational proposal on the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y looking at the program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e and urbanism museum and related facilities. We will make this study to present a program for effective and rational spatial manipulation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se spatial configurations when planning a new installation.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