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바이벌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경쟁구도 포맷에 대한 사회기호론적 연구 : 프로듀스 101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etition format and representation of competition in the survival music audition TV program <Produce 101>, which is popular in the heatedly competitiv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etition format and representation of competition in the survival music audition TV program <Produce 101>, which is popular in the heatedly competitiv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text of <Produce 101>, and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Based on van Leeuwen’s social semiotics, visual text analysis of <Produce 101> was conducted. Moreover, in-depth interview data of five viewers of the program was coded and analyzed. This process identified the meaning of the program that production crew was trying to deliver and the audience’s reaction to how the message worked for the viewers. For the first step of visual text analysis, the syntagm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narrative structure of <Produce 101>. The analysis that focused on kernel events showed a sort of myth that one should compete to attain their dreams and goals, and, by taking on the form of a repeated composition of ‘evaluation and challenge’, must comply with the situation of competition. In the paradigm analysis that focused on satellite events, the semiotic analysis uncovered various frame devices that help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structure mentioned above. Metaphorical frames such as costumes, stage presentations and rewards as results of competition, and story fram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competitors’ personal stories were found. Through these devices, the program strengthened the inevitability of the situation of competition and the natural course of competition. Analysis of the audience’s in-depth interview uncovered sub themes through open coding and focused-coding, and derived major themes. The process by which the viewers accept <Produce 101> is as follows. First, the audience recognizes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competition TV program is created, and recognizes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ition system. Subsequently, a complex reaction to the situation of competition appears as an expression of ambivalence. Finally, the viewers tend to find defensive strategies against the unpleasantness of competition system.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helping producers in the creative industries understand how to use representation to deliver the meaning, based on empirical and in-depth analysis of the popular TV program. In addition, it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media can use the power of representation to extremely beautify or downgrade certain ideas or values, and the audience must be aware of this.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be a guide to viewers that encourages them to have a critical attitude of acceptance.

연구는 경쟁 과열의 사회에서 인기를 구가하는 서바이벌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에 재현된 경쟁 상황과 프로그램의 경쟁구도 포맷에 주목해 본다. 이러한 관점에 초점을...

연구는 경쟁 과열의 사회에서 인기를 구가하는 서바이벌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에 재현된 경쟁 상황과 프로그램의 경쟁구도 포맷에 주목해 본다. 이러한 관점에 초점을 두고 프로그램의 영상 텍스트적 특징과 수용자의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뤼웬(Theo van Leeuwen)의 사회기호론에 기초하여 <프로듀스 101>의 영상분석을 수행하였고, 5명의 수용자들의 심층인터뷰 자료를 코딩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제작진이 전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그 메시지가 시청자들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수용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영상 분석에서 우선적으로 통합체 분석을 통해 <프로듀스 101>의 서사구조를 파악하였다. 중심사건 기준으로 본 프로그램의 서사구조는 ‘평가와 과제’의 반복 구성을 통해 꿈과 목표를 위해 경쟁하는 것을 당연시하고 경쟁 상황에 순응해야 한다는 일종의 신화를 보여주었다. 중심사건을 구성하는 위성사건들을 중심으로 실시한 계열체 분석에서는 앞서 언급한 서사구조 의미 전달을 돕는 다양한 프레임 장치들이 발견되었다. 의상이나 무대 형태, 경쟁결과의 보상과 같은 은유 프레임과 등장인물 간의 관계, 개개인의 사연 등과 같은 스토리 프레임이 그것이다. 프로그램은 이러한 장치들을 통해 경쟁 상황의 불가피성과 경쟁의 당연시를 더욱 더 공고히 하였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수용자 분석을 통하여 개방코딩, 초점코딩을 거쳐 주제를 발견하고 핵심주제를 도출했다. 시청자가 <프로듀스 101>을 수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자가 우선적으로 경쟁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게 되는 사회적 맥락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의 경쟁구도에 대한 부정적 특성을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어서 경쟁 상황에 대한 복합적 반응이 양가적 감정 표출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경쟁구도의 불편함에 대한 방어적 전략을 찾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콘텐츠 생산자가 이와 같이 인기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토대로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소재를 발견하고, 효과적인 의미 전달을 위한 재현 방법을 파악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의 권력이 특정 관념이나 가치관에 대한 극단적 미화 또는 격하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수용자가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시청자가 비판적인 수용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