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언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phenomenon of the substitution of proverbs in modern Korean language from a syntact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description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in a list of proverbs, ‘kuliha-’...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phenomenon of the substitution of proverbs in modern Korean language from a syntact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description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in a list of proverbs, ‘kuliha-’, ‘kule-’, ‘kuleha-’ and ‘kuleh-,’ each form takes a different category as an antecedent.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demonstrate that the construction of auxiliary predicates and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of pre-final endings as well as the lexical meanings of verbs may affect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Chapter 2 identifies the forms that qualify for a list of proverbs and examines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the sphere of research in this study. First, through morphological, phonological and syntactical discussions, ‘kuliha-’, ‘kule-’, ‘kuleha-’ and ‘kuleh-’ are identified as the list of proverb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their conjugation, too. Also, while this study checks the concept of ‘substitution,’ the phenomena of contextual and deitic ‘reference’ are differentiated from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which is a syntactical phenomenon. In addition, since it is judged that the proverbs used in idiomatic construction, too, do not show a typical phenomenon of substitution, it is excluded from the sphere of research in this study. Chapter 3 investigates what category of antecedent proverbs take in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by each form in earnest. First, it is noted that, by [±dynamic] of the antecedent, ‘kuleh-’ class and ‘kule-’ class complementarily substitute each other. However, when a passive verb phrase is substituted, complementary substitution is not observed between categories in the aspectual characteristic of a passive verb phrase.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straints of the antecedent category between ‘kuliha-’ and ‘kule-,’ the forms in the same class and describes this as [±controlled]. Furthermore, this study describes that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outward elements of verb phrases may affect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When proverbs takes the construction of auxiliary predicates as an antecedent, the construction of auxiliary predicates that give meanings in a resultant state or the construction of modal auxiliary predicates with a high progress of grammaticalization is substituted by ‘kuleh-’ class. This is because the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of the construction of auxiliary predicates determine [±dynamic] of the entire antecedents. In addition, ‘kuleh-’ class may take pre-final endings, ‘-ess-'’ and ‘-kess-’ as antecedents only for ‘-ess-'’ in a resultantive and ‘-kess-’ in a subject-oriented modality. This is because their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give descriptions even to ‘-ess-'’ and ‘-kess-’ in addition to verb phrases. Furthermore, substitution not by ‘kule-’ class but by ‘kuleh-’ class too, is caused by the fact that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determine [±dynamic] of the entire antecedent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revealing the grammar of Korean proverbs, considering the above discussion.

연구는 현대국어 대용언의 대용 현상을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대용언의 목록인 ‘그리하다’, ‘그러다’, ‘그러하다’, ‘그렇다’가 형...

연구는 현대국어 대용언의 대용 현상을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대용언의 목록인 ‘그리하다’, ‘그러다’, ‘그러하다’, ‘그렇다’가 형태별로 상이한 범주를 선행사로 취한다는 것을 서술의 중점으로 삼는다. 나아가 동사의 어휘 의미는 물론 보조용언 구성 및 선어말 어미의 상적, 양태적 의미도 대용 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조명될 것이다. 2장에서는 대용언의 목록으로서 자격이 있는 형태들을 확인하고, 본 연구에서 연구 범위로 삼는 ‘대용’ 현상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형태론적, 음운론적, 통사론적 논의를 거쳐 ‘그리하다’, ‘그러다’, ‘그러하다’, ‘그렇다’를 대용언의 목록으로 확정한다. 아울러 그들의 활용 양상도 살핀다. 또한 ‘대용’의 개념을 확인하면서 화맥적, 화시적 ‘지시’ 현상을 통사적 현상인 ‘대용’ 현상과 구분한다. 그리고 관용적 구성에서 쓰이는 대용언들도 전형적인 대용 현상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의 연구 범위에서 제외한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대용 현상에 있어 대용언이 형태별로 어떠한 범주의 선행사를 취하는지 연구한다. 우선 선행사의 [±동작성]에 의해 ‘그렇다’류와 ‘그러다’류가 상보적 대용을 한다는 것을 보인다. 그러나 피동사구를 대용할 때에는 피동사구의 상적 특성상 부류 간 상보적 대용이 준수되지 않음을 확인한다. 또한 같은 부류 내의 형태인 ‘그리하다’와 ‘그러다’ 간에도 선행사 범주 제약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이를 [±통제성]으로 설명한다. 나아가 동사구 외적 요소의 상적, 양태적 의미가 대용 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기술한다. 대용언이 보조용언 구성까지를 선행사로 삼을 때, 결과상태상의 의미를 부여하는 보조용언 구성까지나 문법화의 진전도가 높은 양태적 보조용언 구성까지는 ‘그렇다’류의 대용을 받는다. 이는 보조용언 구성의 상적, 양태적 의미가 전체 선행사의 [±동작성]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렇다’류는 결과상태상의 ‘-었-’과 주어 지향적 양태의 ‘-겠-’에 한하여, 선어말 어미 ‘-었-’과 ‘-겠-’까지를 선행사로 삼기도 한다. 이는 그들의 상적, 양태적 의미가 동사구에 더하여 ‘-었-’과 ‘-겠-’까지에 서술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러다’류가 아닌 ‘그렇다’류의 대용을 받는 것도 상적, 양태적 의미가 선행사 전체의 [±동작성]을 결정하는 데에 기인한다. 이상의 논의를 고찰하면서 한국어 대용언의 문법을 밝히는 데에 일조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