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신체명사/용언'형 연어 선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 list of body-related nouns(body nouns) which are worthful as educational materials by choosing high-frequency body nouns and then extracting adjacent body-related nouns from the corpu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 list of body-related nouns(body nouns) which are worthful as educational materials by choosing high-frequency body nouns and then extracting adjacent body-related nouns from the corpu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vocabulary data and Korean textbooks.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objectives and method of this study, selects data of this study, and reviews the conducted researches involved with body collocation nouns so far. The second chapter defines the concept of collocation. Firth(1957), who defin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for the first time, explained that collocation is two words that come alongside. In Korean language research, collocation is narrowly defined through analyzing semantic relation among components, but this study consider collocation to be co-occurrence of two words as reflecting the view that the narrow definition is not useful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lso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of advanced researches that the composition of 'nominal / predicate' is used the mos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composition of 'nominal / predicate'. Node that is located to nominal position is limited to body-related nouns as it will be helpful for learning collocation by providing the meaningful context that topic has. And then, to exclude the products of contingency one which has three appearance frequency is seen collocation according to findings of Baayen & Renouf(1996). And to conclude, this study defines collocation as the ones that Node is 'body noun'<N>, that the location of N/1 is 'predicates', and that appearance frequency in corpus is more than three times. In chapter 3, the list of body-related nouns for learning is made up. The way of selection is that after body-related noun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2003) and the whole volume of three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reviewed first, 33 finally-selected body nouns become Node and then the list of collocation are made in order of frequency by utilizing 1,000 words Sejong Corpus. In 3.1., the list of 100 collocations is selected and analyzed, Utilization of 5,703 'body nouns / predicate-type' collocation lis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ejong Corpus is suggested in 3.2. . And also, Appendix provides frequency of use of 'body nouns / predicate-type' collocation list in order to confirm it. The character of this study is basic data using Sejong Corpus. Discussion to realize this kind of study can not be found yet. Applicability of this study will be high as the scale of this study's data which is the background is very large, utilization of this study is reviewed as spoken and written language respectively, and literalistic sense and idiomatic sense of collocation are weighed separately. It differentiated this study from other existing studies regarding collocation list that body-related noun collocations which have more than 20% share are selected and this study use appearance frequency rate in order to make the list which must be learned first and foremost.

연구는 기존의 어휘 조사 자료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바탕으로 고빈도 신체명사선정한 뒤 신체명사의 인접어를 말뭉치에서 뽑아, 교육 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신체명사 관련 목록을...

연구는 기존의 어휘 조사 자료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바탕으로 고빈도 신체명사를 선정한 뒤 신체명사의 인접어를 말뭉치에서 뽑아, 교육 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신체명사 관련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대상 자료를 선정하였으며 기존의 신체명사와 연어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연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최초로 연어를 정의한 Firth(1957)는 두 개의 어휘가 나란히 오는 것이 연어라고 하였다. 국어학 연구에서의 연어는 그 개념을 구성요소의 의미 관계 등을 분석해 좁게 정의하지만 본고에서는 이러한 정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크게 유용하지 않다는 한국어 교육적 입장을 반영하여, 두 개의 어휘가 공기하는 구성이라면 연어로 본다. 그리고 ‘체언/용언’형이 연어 구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본고에서도 ‘체언/용언’형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체언의 위치에 오는 중심어(Node)를 신체명사로 한정하였는데, 주제가 가지는 유의미한 맥락을 통해 연어를 향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연성을 배제하기 위해 Baayen&Renouf(1996)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것을 연어로 보았다. 최종적으로 본고에서는 연어를 ‘신체명사를 중심어(N)로 하고 N/1의 위치에 용언이 오는 구성이되, 코퍼스에서 그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것’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신체명사 관련 학습용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선정 방법은 국립국어연구원(2003)의 신체관련명사와 한국어 교재 3종의 전권을 검토한 뒤에 최종적으로 선정된 신체명사 33개를 중심어로 삼고 1,000만 어절 <세종코퍼스>를 이용하여 빈도순으로 연어의 목록을 뽑았다. 3.1.에서는 학습용 연어 목록 100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고, 3.2.에서는 <세종코퍼스>에 출현한 ‘신체명사/용언’형 목록 5,703개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그리고 <세종코퍼스>의 ‘신체명사/용언’구성 목록의 사용 빈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록2>에 제시하였다. 본고의 자료는 <세종코퍼스>를 활용한 기초자료의 성격을 가진다. 이 정도 기초 자료를 제대로 구현한 논의는 확인하기 어렵다. 본고의 자료는 배경이 되는 자료의 규모가 매우 크며, 구어와 문어 텍스트를 나누어 연구의 쓰임을 살폈고, 연어의 축자적 의미와 관용적 의미를 나누어 계량하기도 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또 전체 연어에서 20%이상의 점유율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신체명사 연어를 선택하였으며, 가장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할 목록을 선정하기 위해 대규모 자료인 <세종코퍼스>의 출현 빈도를 이용했기 때문에 기존의 연어목록선정 연구와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