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동포 1.5세와 2세의 한국어/영어 코드 전환 사례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재미 동포 1.5세와 2세의 코드 전환에 대한 연구이다. 코드 전환이란 ‘동일한 화자의 발화에서 두 언어가 서로 교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해당 연구는 이중 언어 화자인 성인 ...

본 연구는 재미 동포 1.5세와 2세의 코드 전환에 대한 연구이다. 코드 전환이란 ‘동일한 화자의 발화에서 두 언어가 서로 교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해당 연구는 이중 언어 화자인 성인 재미 1.5세/2세 동포들이 한국어로 사용하는 대화 상대자들과 대화 시 나타나는 코드 전환을 분류하고 화제에 따라 이러한 코드 전환이 나타나는 양상을 정리하였다. 재미 동포의 코드 전환을 상황적 전환과 의사소통적 전환의 항목 별로 분석하여 이것을 다시 화제별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격적인 이주 역사가 시작된 1970년대 이후 미국으로 이민한 세대들의 후속 세대로서 미국 주류 사회 합류하여 생활하는 영어 우위의 재미 동포 1.5세/2세 성인들의 코드 전환 양상을 밝히고 향후 변화할 재미 동포 사회의 한국어 사용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재미동포 1.5세 6명, 2세 5명과의 한국어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들의 언어 사용에 나타나는 코드 전환의 양상을 상황적 코드 전환과 의사소통적 코드 전환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고, 인터뷰 내용의 화제 7가지별로 나타난 코드 전환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코드 전환의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재미 동포 후속 세대의 우위 언어가 영어이기 때문에 우위 언어로의 전환이 상황적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선호 언어가 그 다음으로 화자의 언어 정체성과 민족에 대한 태도가 반영되어 나타났다. 대화 상대의 우세 언어로의 전환은 한 참가자에게서 대부분 발견되었으며 화제에 따라 그 정도가 달랐다. 의사소통적 분석은 크게 두 분류로 나누었는데 의사소통의 전략적 기능을 위한 전환 항목 6가지와 언어적 형식을 위한 전환 항목 4가지, 총 10가지가 그 하위 분류 항목이다. 전략적 기능을 위한 전환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전환이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한국어 발화 시 한국어보다 영어가 더 용이한 표현이나 어휘들이 전환되어 등장하였다. 구체화, 명료화, 불확실성, 강조, 기타(재미, 화제 전환)가 그 뒤를 이어 등장하였다. 언어적 형식을 위한 전환은 간투사 및 감탄사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며 한국어 표현에서 막혔을 때의 의미 없는 표현과 단순 응답 등이 영어식 표현으로 전환되었다. 용어 및 호칭, 인용, 접속사 순으로 그 뒤를 따랐다. 전략적 기능의 기타(재미, 화제 전화)와 언어적 형식의 접속사는 본고에서 처음으로 분류한 항목이다.
화제별 분석에서 직업, 미국생활, 경험과 관련한 화제에서 영어로의 코드 전환을 타 화제보다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 주류 사회에서 일을 하며 영어로 주된 생활을 하고 성장한 재미 동포 1.5세와 2세들이기 때문에 해당 화제들에서 영어 표현이 더 용이했기에 전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와 관련한 화제는 각 참가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나 한국 문화를 접하는 매개의 언어에 따라 전환의 정도가 달랐다. 본 연구는 제한된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있어 연구의 한계가 있으나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성인 재미 동포들을 대상으로 코드 전환 양상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ode-switching patterns of 1.5 and 2nd generations of Korean-Americans in the U.S. Code-switching can be defined as a 'juxtaposition of two or more languages within one speech.' As Korean-English Bilinguals, these ...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ode-switching patterns of 1.5 and 2nd generations of Korean-Americans in the U.S. Code-switching can be defined as a 'juxtaposition of two or more languages within one speech.' As Korean-English Bilinguals, these generations are presumed to code-switch between languages because of certain situational factors or in order to use code-switching as a conversational strategy. These two factors that trigger code-switchings are called the 'situational code-switching' and the 'conversational code-switching' by Gumperz(1982). This study analyzes code-switched speeches of 11 of these Korean-Americans and categorizes the types of code-switches that are spoken by these participants. Moreover, these analyzed code-switchings are again used to find out patterns that may come in sight topically. Topical analysis of Korean-Americans code-switching has not been undergone so much in the field so far. This research will help understand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next generations of Korean-Americans in the U.S. Hence, this research interviewed six 1.5 generations and five 2nd generations and collected the numbers of appearance of code-switchings which have been categorized for top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ells us that since the subjects' dominant language is English, code-switching to their dominant language took place the most for situational code-switching, and code-switching to their preferred language came next. Language preference gave insight of the participants' language identity and their attitude toward ethnicity. Code-switching to the dominant language of the interlocutor was seen mostly from one particular participant and the degree of switching differed in each topic. Communicative code-switching was subcategorized by two categories: Code-switching for function as communication strategy and Code-switching for linguistic form. 6 functions were analyzed for the former category, and code-switching for Problem-solving was taken place the most. Since the interview was progressed in Korean, the expressions and vocabularies that were in more ease in English were switched. Code-switching for elaboration, clarification, uncertainty, emphasis, and the like(joke, topic conversion) followed in that order. Interjection was found the most in code-switching for linguistic form. Meaningless expressions made due to delay in finding Korean expressions and simple answers in English were found most for interjections. Code-switching for terminology & title, quotation, and conjunction followed in that order. Code-switching for Joke and topic conversion in function category and conjunction in linguistic form category are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research.
In topical analysis, topics related to jobs, American life, and experiences came with more code-switching than any other topics. For 1.5 and 2nd generations of Korean-American's whose most of their times living in the U.S. are in English, these topic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easily switch into English. Topic related to Korean culture differe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their attitude toward the culture, or the language of the medium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culture they are exposed to.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goal and raises the research questions. Also the descriptions of research method and subjects are mad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bilingual ability and code-switching. Definition of code-switching and precedant studies about language usage of immigrants are also described in this chapter. Third chapter introduces the categorical analysis of precedant code-switiching studies of Korean immigrants, therefore providing grounds for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current study. Forth and Fifth show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each category of code-switching and topic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in chapter Six.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