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성우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origin of voice actors in Korea has been so long as its broadcasting history. Even the job has been overloaded for a while with radio dramas, dubbing in domestic and foreign movies and animations. However, the contemporary digital broadcasting ...

The origin of voice actors in Korea has been so long as its broadcasting history. Even the job has been overloaded for a while with radio dramas, dubbing in domestic and foreign movies and animations. However, the contemporary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the undergoing media fusion absorbing the past broadcasting areas have significantly reduced the active regions of the job and the artists' new openings as well. To make matters worse, the accumulated number of voice actors and actresses registered to the Korea Voice Performance Association amounts to 800 as a result of the continual recruitment up to date. The awareness of this worsening reality was indicated through the surveys for job satisfaction in 1997 (YS, Kim) and 2003 (SJ, Choi), and facilitated needs for competitiveness in this job.
The surveys pinpoint inactive communications among voice actors and actresses, and between production crew and them, which implies that communication skills of the artists may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Also, that investigation says higher job change rate, psychological burnout and low job performance, possibly led by the low job satisfaction level.
So far many studies have been done for broadcasting jobs such as ers and newscasters, but not for voice actors. Besides the mentioned job satisfaction surveys, there have been no notable, practical studies except on narration skills and voice training methods for th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refore, how 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of voice artists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from that ground, not only finds out how to improve the skills, but also suggests new alternatives to the real problems, as stated before, like reduction in dubbing jobs, in work boundaries because of media fusion and in overall job opportuniti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mobile survey for 201 registered voice actors and actresses was conducted in terms of 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via factoral correlations and a mathematic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ell that 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positively plays on individual job satisfaction, meanwhile it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in a negative manner.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lessen psychological burnout, they need to develop sound communication skills among peers and between production crew and them, which leads to fair listening and sympathizing abilities starting from good relationships.
In the future work, criteria and levels regarding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need to be developed along with other influencing factors. Also programs and training methodologies for better personal communic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on restoration of all active voice actors and actresses in psychological burnout.

우리나라 성우의 기원은 방송의 역사와 그 시작을 함께 할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 때 성우들은 라디오드라마, 방화, 외화 더빙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해서 성우 일을 감당하지 못하...

우리나라 성우의 기원은 방송의 역사와 그 시작을 함께 할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 때 성우들은 라디오드라마, 방화, 외화 더빙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해서 성우 일을 감당하지 못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21세기 디지털 방송환경이 보편화 되고, 매체 융합과 더불어 방송영역이 서로 융합되면서 그만큼 성우 고유영역이라 여겨졌던 부분들이 많이 축소되었고, 이로 인해 성우들의 설 자리 역시 축소되었다. 게다가 방송사의 계속된 성우선발로 인해 지금까지 누적된 한국성우협회 등록 성우가 800여명에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한 우려는 성우직무 만족 조사 결과에서도 그 심각성이 드러났고, 무엇보다 성우들의 경쟁력 확보가 절실함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특히 성우동료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제작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성우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연구결과 이러한 직무에 대한 불만족은 이직의도를 높이는 한 요인으로 분석됐고 이로써 성우들이 심리적으로도 많이 지쳐있고, 효능감이 많이 결여된 상황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방송직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되어왔지만, 대부분이 취재기자, 아나운서에 집중되어 왔고 성우관련 연구는 주로 성우 연기의 화술 양상과 훈련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며, 직무만족 연구 외에는 이렇다 할 관련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우들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성우들의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미치는지를 밝혀 이를 바탕으로 성우들의 소진 극복방안과 직무만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한국어 더빙 제작 감소와 방송 영역의 융합에 따른 성우 활동 영역의 감소와 기회의 축소 같은 성우들의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성우협회 등록 성우를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 조사 방식으로 성우들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을 검증된 척도에 의거 조사하였고, 중복 응답을 제외한 총 201명의 설문응답결과를 바탕으로 각 요인별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성우들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역할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소진에는 부적인 역할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성우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소진을 줄이기 위해서는 동료간, 그리고 제작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야 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능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에서는 성우와 같은 프리랜서 방송인들을 위한 직무만족과 소진관련 척도의 개발과 성우들의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된다면 심리적으로 지쳐있는 성우들에게 자신감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데 좀 더 효과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