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실태 및 교육수요에 대한 연구 : 서울시 S구와 경기도 G시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2015년 1월 현재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180만여 명에 이르고, 결혼이민자는 15만여 명으로 전체 8.4%로, 이에 따라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한국 국민과의 결혼ㆍ귀화를 통한 국적 취득자...

2015년 1월 현재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180만여 명에 이르고, 결혼이민자는 15만여 명으로 전체 8.4%로, 이에 따라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한국 국민과의 결혼ㆍ귀화를 통한 국적 취득자인 다문화가족을 주 대상으로 한다.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에 우선하여 필요한 요소와 그들이 맺고 있는 관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교육수요가 한국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이들이 합리적이고 안정적으로 우리 사회에 적응하고 나아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정책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적 특성에 따른 가족 관계가 한국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가?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에 따라 한국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셋째, 다문화가족지원 프로그램 참여 실태와 다문화가족에게 필요한 교육수요는 어떠한가?
넷째,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다문화이해교육 실태와 수요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결혼이민자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v.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적 특성에 따른 가족 관계가 한국 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상호 다름을 인정하고 원만한 가족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혼이민자를 포함한 다문화가족을 지원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체계적이고 정기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는 친구ㆍ이웃 관계, 지역사회 관계가 한국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 관계와 지역사회 관계가 높아질수록 결혼생활 적응이 높아지며, 가족 관계, 친구ㆍ이웃 관계, 지역사회 관계가 높아질수록 기본생활 적응도 높아진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참여 실태와 다문화가족에게 필요한 교육수요는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 한국 문화 교육, 자녀 교육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에게 필요한 교육은 한국어 교육과 자녀 양육과 관련된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착 기간이 길어지고,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사회 환경의 인식개선을 위한 다문화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는 우리 사회와 다문화가족 상호 공존을 모색할 시점임을 시사한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문화 감수성 증진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여성결혼이민자로 인해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근간이 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정책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다양한 정책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착한 이민자들이 자발적인 주체가 되어 초기 이민자를 돕는 사회적 환원이 필요하다. 수동적인 수혜자에서 능동적인 재능 기부자로의 변화는 자신의 발전은 물론 꼭 필요한 인적자원으로 지역사회를 이끄는 주인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초창기 여성결혼이민자가 정착을 우선시한 세대라면 그다음 세대는 그들의 풍부한 문화 역량으로 세계시민의 선구자 역할을 담당하는 주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expatriates who live in Korea reached 1.8 million as of January 2015. There are 150,000 immigrant wives, and they account for 8.4% of expatriates. Accordingly, the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s mainly for multi-cultural families, perso...

The number of expatriates who live in Korea reached 1.8 million as of January 2015. There are 150,000 immigrant wives, and they account for 8.4% of expatriates. Accordingly, the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s mainly for multi-cultural families, persons who acquire nationality through naturalization and marriage with Korean national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preferentially necessary for immigrant wives' adaptation to Korean life and the aspect of connection formed by them. It is intended to grop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o that they reasonably and stably adapt to our society and further show their competence after understanding what effect is produced on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by the consequent demand for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effect do family relationships according to immigrant wives' general traits and family traits have on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Second, what effect is produced on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according to immigrant wives' social relationships?
Thir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grams and the demand for education necessary to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what are the demand and the actual condition for education concern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a multi-cultural society?
180 immigrant wives who became a member of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v. 21.0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find the importance of that family relationship according to immigrant wives' general traits and familial traits that have the largest effect on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In order to accept mutual differences and in order to maintain smooth family relationships, an education program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ing the immigrant wives should be systematically and regularly activated.
Second, with regard to immigrant wives' social relationships, it was shown that friendsㆍneighbor relationships and community relationships wer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As family relationships and community relationships improve, adaptation to a married life improves. Also, as family relationships, friendsㆍneighbor relationships, and community relationships improve, adaptation to basic everyday life improves.
Third, with regard to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grams and a demand for education necessary to a multi-cultural family, most people participat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children's education in organizations related to multi-culture. With regard to education necessary to multi-cultural family, it was shown that education relat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ld-rearing was the most required. An education helpful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is required, as more time passes since their settlement, and as their children grow.
Fourth, a request for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a multi-cultural social environment implies that it is a point in time to grope for the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our society. As there is a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n eff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multi-cultural sensitivity to resolving these issues.
In our society, due to immigrant wives, the backbone of Korean multiculturalism was constituted, and on the basis of this, multi-cultural policies were implemented. These various policies are receiving positive review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immigrant wives' social relationship, philanthropy is required, where immigrants who settled earlier become the voluntary subjects and help other immigrants from the beginning. A change from passive beneficiaries to active talent donors requires ownership to lead not only their own progress but also the community as indispensable human resources. While immigrant wives in the first stage were a generation that gave priority to settlement, the next generation should become leading figures in charge of playing a role of trailblazers as cosmopolitan with their abundant cultural capacity.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