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인터넷 스포츠 뉴스의 댓글에서 종종 나타나는 비방, 욕설, 저주하는 내용의 플레임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갈등적 화행을 비교하고 언어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것에 목적... 본 논문은 인터넷 스포츠 뉴스의 댓글에서 종종 나타나는 비방, 욕설, 저주하는 내용의 플레임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갈등적 화행을 비교하고 언어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플레임이란, 온라인 공론장에서 인신공격성 내용의 댓글이나 게시글을 뜻한다(Arendholz, 2013). 플레임을 화용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서는 Culpeper(1996, 2003)의 무례 이론을 수정 보완한 Bousfield(2008)의 무례 이론을 통해서 플레임에 쓰인 무례 전략을 알아보고 직접적 불평과 간접적 불평의 차이와 기능을 설명한 Boxer(1993)의 이론을 적용하여 플레임의 직/간접성 여부를 살펴본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두 언어의 갈등 화행 실현 전략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소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무례의 단일 전략 유형과 복합 전략 유형 중에서 한국인과 영어권 네티즌의 선호도는 어떻게 다른가? (2) 전반적인 무례 전략과 관련하여 두 언어의 선호도와 의미적 포뮬라는 어떠한가? (3) 직접적 갈등 화행과 간접적 갈등 화행 전략 중에서 두 언어의 전략 선호도와 전략에 따른 의미적 포뮬라는 어떻게 다른가? 연구 결과, 한국어와 영어 모두 복합 전략 유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두 언어의 선호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복합 전략 유형을 구성하는 무례 전략의 조합 양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존재했으며 전반적인 무례전략의 선호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두 언어의 차이는 매우 유의미했다. 한국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 세 가지 전략은 첫째, ‘으스대며 깔보기, 경멸/조롱하기(condescend, scorn or ridicule)’, 둘째, ‘금지어 사용하기(use taboo words)’, 셋째, ‘협박하기/겁먹게 하기(threaten/fighten)’ 전략의 순서였다.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 전략은 첫째, ‘비판하기(criticise)’, 둘째, ‘금지어 사용(use taboo words)’, 셋째, ‘으스대며 깔보기, 경멸/조롱하기(condescend, scorn or ridicule)’ 전략의 순서였다. 두 언어 모두 ‘금지어 사용하기’와 ‘으스대며 깔보기, 경멸/조롱하기’ 전략을 높은 비율로 사용하였으며 청자를 동물로 비유하며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의미적 포뮬라에서 자주 등장하는 화행(제안, 충고 또는 협박, 경고 등)이나 특정 의미 표현에 있어서 언어 문화적 차이가 드러났다. 또한, 직접적 갈등 화행과 간접적 갈등 화행 전략에서도 한국어는 직접적 갈등 화행에 대한 높은 선호를, 영어에서는 간접적 갈등 화행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한국어에서는 ‘너, 당신’과 같은 2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여 목적 대상을 직접 거론하며 노골적으로 협박하고 탓하는 내용이 두드러졌으며, 영어에서는 대상에게 직접 비난하기 보다는 다른 네티즌에게 불평하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영어 텍스트에서는 토론하듯이 조목조목 반박하고 진실을 밝히고자 항의하는 댓글이 많았다. 이러한 한국어와 영어 댓글에 나타난 갈등적 화행의 차이는 Hofsted(1980)가 주장했던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에 근거한 체면에 대한 문화적 인식의 차이’가 현상 이면에서 사람들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암시하였으며, 한국의 스포츠 온라인 공론장이 진정한 참여와 숙의를 전제로 하는 공간이기 보다는 국가주의를 확산시키는 팬덤의 공간으로 변질하는 특성을 지녔고 이로 인해 갈등 조장적 성향을 드러낼 수 있다(정희준과 김무진, 2013)는 논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This thesis studies the flames which include accusation, swear words, and curses with the feedback comments of online sports news. This study aims to show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flames and English flames in terms of the realizations of impolit... This thesis studies the flames which include accusation, swear words, and curses with the feedback comments of online sports news. This study aims to show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flames and English flames in terms of the realizations of impoliteness. The 'flame' means the “ad hominem” threads on the internet public sphere’s discussion (Arendholz, 2013). The analysis frameworks for flames are first based on, the impoliteness theory of Bousfield (2008) on the basis of Culpeper’s (1996) linguistic impoliteness and second, Boxer’s (1993) direct/indirect complaints. To investigat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strategies and semantic formulas,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will be the following. (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terms of the single strategy and complex strategies?,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with regard to overall impoliteness strategies?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respect of the direct/indirect conflictive speech act? The data were collected via the feedback comments of online sports news in ‘NAVER’ for Korean, and ‘ESPN’ & ‘YouTube’ for English. The News articles were about ‘female single figure skating in 2014 Sochi Olympic’ because there was a fierce dispute over the judgment of the figure skating gold medal and Sotnikova’s competence. Thus, lots of flames occurred in these articles. With relation to a preference in the use of single and complex strateg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English. In other words, all the two languages' flames showed an inclination to prefer complex strategies when realizing conflictive speech acts. However, there we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and linguistic formulas of single/complex strategies in Korean and English. Therefore, in the second question, the two languages reveal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were in Korean flames first, 'Condescend, scorn or ridicule', second, 'Use taboo words', and finally, third, 'Threat/frighten' in order of frequency. -user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used first, 'Criticise', second, 'Use taboo words', and third, 'Condescend, scorn or ridicule'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the same manner. Their linguistic formulas and contents of conflictive speech acts also demonstrated the cultural differences. Though, the two languages had commonality in that they used 'Condescend, scorn or ridicule' and 'Use taboo words' strategy at a high rate and they compared the addressee to animals when expressing conflictive utterances ridiculously. In third questions, Korean net-users preferred 'direct conflictive speech act' and English net-users preferred 'indirect conflictive speech act'. Especially, Korean flames often took the emotional expressions, using the second personal pronouns such as '너, 당신(you)' in the examples “니 때문에 김연아가 2연패 못하고 눈물로 은퇴했다. […] (Kim Yu-na didn’t win successive victories and retired with tears because of you […])”, “넌 오늘 점수 잘 기억해둬라[…] (You, remember your today’s score well […]) ”, and threatening, reprimanding the other like ‘다음에 두고 보자(you will have to pay for this next time). However the most of the English flames just tried to figure out the truth, protesting and complaining the judgment of female figure skating with relatively logical words and structures. These results imply the culturally relative recognition of 'face' based on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suggested by Hofstede(1980). That is, Korean based on collectivism is apt to reprimand the other with uninhibited, strong terms for meeting the demands of a social group but English founded on individualism is inclined to give priority to an individual’s face rather than a group’s expectation. Thus, it seems that English relatively respects the other’s face even when criticizing. In addition, Korean online public sphere’s discussion has a tendency to trigger conflicts between nations rather than to encourage authentic participation and reasonable deliberation of the net-users, changing a space of ‘fandom’ to spread a distorted nationalism (Chung & Kim, 2013).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