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과 3, 4학년 학생들에 초점을 맞추고 중국 학생들이 한국인과 어려움이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중국 대학의 교육 과정에 맞는 효율적인 한국어 말하...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과 3, 4학년 학생들에 초점을 맞추고 중국 학생들이 한국인과 어려움이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중국 대학의 교육 과정에 맞는 효율적인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교재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정리하는 것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2장에서는 본고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삼기 위해 말하기의 특성과 말하기 능력의 구성요인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중국 고학년 학습자에게 적당한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정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교재 개발 틀을 잡아 주기 위해 과제 중심의 말하기 지도 이론을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중국 대학용 말하기 교재 개발 원리를 모색해 보았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먼저 지금 중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교재 5가지, 총 7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기준은 크게 외적 구성과 내적 구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는데 내적 구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특히 교재의 단원 구성은 과정 중심으로 되어 있는지, 단원의 말하기 과제는 실제적인지, 학습 활동은 과제 중심처럼 구성되어 있는지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보았다. 기존 교재의 분석 결과는 교재들이 말하기 교재보다는 읽기 교재, 통합 교재와 더 같다고 할 수 있다. 말하기 과제 활동의 부족, 시청각 자료의 제시 부족, 발음, 억양의 교육 내용 간과, 과정 중심적으로 접근 결여, 성찰적인 말하기 교재가 아니라는 문제점을 밝혔다. 그 다음으로 교재 개발을 위해 중국 대학교 학생 및 교사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 조사의 결과를 간략히 보면 조사 대상자들이 보편적으로 말하기가 어려워하고 있고 기존 말하기 교재에 대해 만족하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조사를 통해서 학생과 교사들이 선호하는 말하기 주제, 말하기 기능, 학습 활동 방식, 활동 유형 등 무엇인지를 파악했다.
4장에서는 이론적 배경하고 교재 분석 결과 및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국 대학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의 개발 방향을 설정했고 교재에 들어갈 주제, 기능, 과제 활동을 선정하고 교재의 교수요목을 설계했다. 단원의 구성 모형을 간략히 살펴보면 교수 내용은 말하기 수행 이전 단계 -말하기 수행 단계- 말하기 수행 이후 단계에 따라 <도입> <본문> <어휘, 문법, 표현> <말하기 활동> <문화 일각> <자가 진단 평가>로 구성했다. 그 중 <도입> 부분도 ‘단원명’ ‘학습 목표’ ‘도입’이 포함되고 <본문>은 ‘본문’ ‘어휘’ ‘발음, 억양’ ‘말하기 활동’이 포함되고 <말하기 활동>은 ‘연습 활동’과 ‘과제 활동’으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한 후에 본 연구에 존재하는 부족한 점을 밝힘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