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되먹임 로봇 보조 보행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과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시각적 되먹임 로봇-보조 보행훈련이 만성뇌졸환자보행균형균형자신감에 미치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되먹임 로봇-보조 보행훈련이 만성뇌졸환자의 보행 및 ...

시각적 되먹임 로봇-보조 보행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과 균형자신감에 미치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되먹임 로봇-보조 보행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과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 소재의 M 전문 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만성뇌졸중 환자 30명을 무작위로 각 15명씩 로봇 군과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로봇 군은 일반적인 물리치료 중재 후 부가적으로 시각적 되먹임 로봇-보조 보행훈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물리치료 중재 후 치료사에 의한 보조 및 보조도구를 이용한 보행훈련을 수행하였다. 중재는 4주 동안 주 5회 하루 30분씩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사전 검사 후 보행훈련 중재를 수행하였고, 모든 중재가 마친 후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보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10m 보행검사(10m walking test, 10MWT), 8자 걷기 검사(Figure of 8 walk test, F8W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UG)로 측정하였고, 균형은 버그균형척도 (Berg balance scale, BB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균형자신감은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Korea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K-AB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m 보행검사 결과 로봇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8자 걷기 검사 결과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로봇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셋째,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는 대조군이 로봇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넷째, 버그균형척도 검사 결과도 대조군이 로봇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다섯째,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 검사 결과 로봇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시각적 되먹임 로봇-보조 보행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직선 보행 능력과 균형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되며 체간의 안정성을 통한 곡선 방향으로의 보행경험이 병행 된다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의 질은 향상될 것으로 제언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