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고맥락 문화 양상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한국교재나타난 고맥락 문화양상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습자가 목표 언어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언어 기능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언...

본 연구는 한국교재나타난 고맥락 문화양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습자가 목표 언어로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언어 기능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과 문화적 양상에 대한 교육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져온 문화교육의 양상을 보면 의사소통에서의 문화교육인 언어문화교육보다는 전통문화 교육에 대한 것이 중심이 되어 왔는데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언어문화에 대한 교육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의사소통의 문화적 특징이 한국어 교재에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에드워드 홀(Edward T. Hall)이 제시한 문화 분류인 고맥락 문화권과 저맥락 문화권을 기준으로 하여 고맥락 문화권에 속한 한국어 안에 그러한 특징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 있는지를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언어문화 교육과 문화간 의사소통, 고맥락 문화 양상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언어문화 교육과 고맥락 문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경향을 파악하였다.
2장에서는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개념 및 그 관계에 대해 논한 후에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자들의 정의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정의들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홀(Hall)이 제시한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의 개념을 정리하여 한국어가 가지는 고맥락적 의사소통의 특징에 대해 유추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고맥락 문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의 문화가 지닌 고맥락 문화의 특성과 그 배경을 유교 문화, 집단 문화, 단일 문화로 분류하여 정리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한국어의 의사소통 안에 담겨있는 고맥락 문화적 특성을 침묵, 미소 등 비언어적인 표현의 발달, 간접적 표현의 사용, 눈치 의사소통의 발달, 애매한 표현, 어법의 복잡성, 긴 문장과 미괄식 구문의 사용,‘우리’라는 표현의 발달, 생략 현상과 한국인의 화행 속에 드러난 발화상황과 내용의 불일치, 화행기능의 불일치 등으로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재분석의 틀이 되는 내용을 추출하였다. 크게 간접 표현, 축약 현상, 우리 표현, 격식적 반응 의 4가지로 분류하여 선정한 3종 교재의 대화문에서 그러한 4가지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 분석하였다. 교재 대화문 분석 결과 간접 표현, 축약 현상, 우리 표현, 격식적 반응이 3종 교재에 고루 분포되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화자와 청자가 모두 아는 내용을 생략하는 축약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가지의 고맥락 문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그에 대한 설명이 교재에 나타나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양상에 대한 설명이 나오지 않은 교재도 있었고 부분적으로 설명을 하고 있는 교재도 있었는데 이를 통해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은 한국어의 고맥락 문화의 양상을 반영하고 있지만 학습자들의 이해를 위해 양상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에 나타나 있는 고맥락 문화의 양상을 한국어 교재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교재의 대화문을 통해 이미 고맥락 문화의 양상이 나타나 있으므로 그러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그에 대한 교육이 더불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에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The aim of this is to study about high-context culture aspec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learner should be educated about the context in which language is used educational and cultural aspects , as well as on language skills in order ...

The aim of this is to study about high-context culture
aspec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learner should be educated about the context in which
language is used educational and cultural aspects , as well as on
language skills in order to communicate smoothly in the target
language. The aspect of culture education has focu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an Korean language cultur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of learner, culture education should combined
with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this issue, this study
is to define the feature of Korean communication aspect in Korean
textbooks. Edward T. Hall present cultural classification as
high-context culture and low-context cultur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is studied about the aspect of high-context
cultural feature.
Chapter 1 analyzed previous research of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high-context culture.
Chapter 2 discussed that the concept of language and culture, and
later summarized definitions about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 And organized the concept of high-context culture and low context culture from Hall, than it is inferred the feature oh
low-context cultural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Chapter 3 examined Korean language and high-context culture.
Firstly, it is sorted that feature and background of high-context
culture in Korean culture by the Confucianism culture, Group
culture, and Unity culture. Through this summary the feature in
Korean communication classify as development of non-verbal
expression, the use of indirect representation, development of
noticed communication, obscure expression, complexity of
phraseology, the use of long sentences, development of
‘We’expression, elision phenomenon, inconsistencies between the
situation and content of utterances or between speaker’s intended
functions of speech acts.
Chapter 4 educe the framework about analyzing Korean textbook. it
is sorted that indirect expression, contraction phenomenon,
‘We’expression, and formal reaction. And it analyzed the aspect
that such 4 kinds feature in selected 3 textbooks. The result of
analyzing textbooks, it is evenly presented that such 4 kinds or
feature. Among them, contraction phenomenon is prominently
presented in textbooks. Study about 4 high-context culture and also
study about the explains of the high-context cultural features in
textbooks. Some textbooks have no expression about such features
and some textbooks partially have it. Through it this
confirm that Korean textbooks already reflect the aspect of Korean
high-context culture. However, it should present the explains this
aspect for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seized that the aspect of high-context culture in
Korean language in Korean textbooks. Through the conversations of textbooks it is confirmed the high-context cultural aspect is
already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Therefore if the learner is
educated the education of high-context culture in Korean language
by using such material, it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and that is the meaning of this study.
[Key words]High-context culture, Language culture, Conversations in
textbooks, Intercultural-communication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