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y age i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reading ability of 56 children at the age of early 4 (4;0-4;5), later 4 (4;6-4;11), early 5 (5;0-5;5), a...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y age i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reading ability of 56 children at the age of early 4 (4;0-4;5), later 4 (4;6-4;11), early 5 (5;0-5;5), and later 5 (5;6-5;11).
In terms of assessment measures, parts of the following tests were extracted and used: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 (TVPS-R), Early Korean Reading Ability Test for Preschool Children (Kim, 2006),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Test (Hong, 200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8.0.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means by age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reading abilit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ab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abilities in visual percep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early reading showed the pattern of gradual development with age, and the abilities in visual percept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at the age of 4-5. Visual perception was divided into Visual Discrimination, Visual Memory, Visual Spatial Relations, Visual Form Constancy, Visual Sequential Memory,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Visual Closure. The areas except visual constancy and visual closure were associated with early reading abilit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particular, visual discrimination and visual spatial relation recognition ability showed a high level association at the stages of syllable reading and letter naming, which suggests that the Korean is the language with a high level of visually perceptual quality.
In terms of phonological awareness, syllable awareness rapidly developed between the early part of age 4 and the early part of age 5, and phonemic awareness rapidly developed between the early part and the later part of age 5. Early reading ability showed rapid development between the later part of age 4 and the later part of age 5, which is viewed as an important period in reading development when the full-scale learning take place in reading Korean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early reading ability were not only similar in the development time frame but also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the abilities developed from the unit of syllable to the unit of phone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early reading ability, using the early reading model which allows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preschool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by classifying non-motor visual perception that is strongly related to reading as well as phonological awareness into seven sub-typ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arly screening of children at risk of reading disorder requires age-appropriate tasks and the treatment requires determining whether the reading problem is caused by a deficit in visual perceptio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r other problem areas, and selecting an intervention that fits the cause of the problem.
본 연구는 4세 전반(4;0-4;5), 4세 후반(4;6-4;11), 5세 전반(5;0-5;5), 5세 후반 (5;6-5;11) 아동 56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시지각 능력, 음운인식 능력, 초기 읽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초기 읽기 ...
본 연구는 4세 전반(4;0-4;5), 4세 후반(4;6-4;11), 5세 전반(5;0-5;5), 5세 후반 (5;6-5;11) 아동 56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시지각 능력, 음운인식 능력, 초기 읽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고, 초기 읽기 능력과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검사 도구는 시지각 기능 검사(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 TVPS-R)와 학령전 아동의 한국어 초기 읽기 능력 검사(김영태, 2006)및 음운인식 능력 검사(홍성인 외, 2002)의 일부를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8.0을 사용하여 연령에 따라 시지각, 음운인식, 초기 읽기 능력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초기 읽기 능력과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지각 능력, 음운인식 능력, 초기 읽기 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인 발달양상을 보이며, 시지각 능력과 음운인식 능력은 만4-5세 아동의 초기 읽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시지각 하위영역은 시각 변별(Visual Discrimination), 시각 기억(Visual Memory), 공간 관계(Visual Spatial Relations), 형태 항상성(Visual Form Constancy), 순차 기억(Visual Sequential Memory), 도형 배경(Figure-Ground Discrimintion), 시각 통합(Visual Closure)으로 나뉘고, 형태 항상성과 시각 통합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초기 읽기 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특히 시각 변별과 공간 관계 인식 능력은 본격적으로 글자는 배우는 음절 읽기와 글자소 이름대기 단계에서 매우 높은 관련성이 있었는데 이는 한글이 시지각적 자질이 많은 문자라는 것을 시사한다.
음운인식에서 음절 인식은 4세 전반에서 5세 전반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였고, 음소 인식은 5세 전반에서 5세 후반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였다. 초기 읽기 능력은 4세 후반에서 5세 후반에 급격한 발달을 보이고, 이 시기가 읽기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며 본격적으로 한글 단어 읽기를 학습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음운인식 능력과 초기 읽기는 발달 시기가 비슷할 뿐 아니라 음절 단위에서 음소 단위로 발달하는 과정도 동일하였다. 이는 음운인식 능력과 초기 읽기 능력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음운인식뿐만 아니라 읽기와 관련성이 높은 비운동성 시지각을 7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누어 학령전 아동의 읽기 발달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초기 읽기 모형을 통해 시지각 및 음운인식 능력과 초기 읽기 능력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 장애 위험군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적합한 과제를 사용해야 하고, 읽기 문제의 원인이 시지각적 결함인지, 음운인식 능력의 결함인지 혹은 그 외 다른 영역의 문제인지를 파악하여 각각의 아동에 맞는 중재 방법을 선택해야함을 시사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