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일 감탄사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한국어와 일본어의 감탄사를 대조 분석하여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일본한국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의사소통을 하면서 듣게 되는 감탄사를 쉽게...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감탄사를 대조 분석하여 두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의사소통을 하면서 듣게 되는 감탄사를 쉽게 이해하고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감탄사는 다른 품사에 비해 그 수는 적지만 구어적인 특성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어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또한 감탄사만으로도 사람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 의사소통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하지만 현재 한국어 품사 중 감탄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그 중에서도 대조 연구와 교육 방안은 거의 없다. 이에 한・일 감탄사 대조 연구를 통해 다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을 다룸으로써 다른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지금까지 연구의 성과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써 감탄사를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으며, 감탄사를 의미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또한 감탄사를 담화표지로 보는 연구가 있어 담화포지에 대한 개념 또한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감탄사를 조사하고 일본어와 대조할 감탄사를 선정하였다. 대조 감탄사 선정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감탄사 중 그 빈도가 높은 것으로 추출하였다. 교재에 나타난 감탄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영옥(2008)에서 제시한 구어 감탄사와 비교하였다. 교재에 나타난 모든 감탄사가 구어 감탄사 목록에 포함되어 있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 환경 전반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감탄사로 보고 대조 감탄사로 선정하였다. 감탄사 대조는 한국어와 일본어 중에 의미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과 하나의 감탄사에 여러 의미 및 기능을 가진 감탄사가 한국어와 일본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한·일 감탄사 대조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초급 수준의 일본인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탄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감탄사를 사용하지 않을 때가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감탄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특히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감탄사 대조 연구 및 교육 방안은 거의 없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감탄사의 의미는 기존의 담화분석 연구와 사전을 참고하여 대조 분석한 것이다. 그러므로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는 하나, 한・일 감탄사 대조 연구 및 교육 방안이 아직 미흡하기 때문에 후속 연구들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고에서는 빈도가 높은 일부의 감탄사만 대조 분석하였지만 드라마나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감탄사까지 대조 분석을 못했다는 것에 아쉬움이 있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이 방안이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한 한국어 감탄사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초급 단계부터 가지고 배워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교육 방안을 모색할 때 초급2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다른 등급까지 못했다는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감탄사 교육에도 기초적인 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facilitate more fluent conversation skills for native Japanese 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ese and Korean exclamations is performed focussing on terms with high usage fre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facilitate more fluent conversation skills for native Japanese 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ese and Korean exclamations is performed focussing on terms with high usage frequency and diverse functions. In so doing, this study seeks to elucidat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exclamat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number of exclamations in Korean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at of other parts of speech. However, they have a very ‘native sounding’ character. This, coupled with the fact that they occur quite often in everyday speech makes them an important asset to the non-native speaker. So, while exclamations are relatively few in number, they are highly relevant as an important tool for speakers to utilize in expressing themselves.
Part one presents this study’s objectives and methods. Also, this study presents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Korean exclamations, these study’s results, and the issues they pose. Previous studies on Korean exclamations are few, compared to those on other parts of speech. In particular, there is a lack of Japanese/Korean comparative analysis studies and of corresponding educational methodology proposals. That being the case, this study is distinct in it’s addressing the issue of comparative analysis of exclamat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In part two, through a discussion of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concept of an exclamation and on how exclamations are categorized by type. Also, as previous research has expressed the exclamation as a ‘discourse mark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ourse marker concept.
In part three, this study identifies the terms to be researched. This was done by referenc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well as studies pertaining to the usage frequency of different exclamations. This study identifies and orders the exclamations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their type and by their usage frequency. The practice methods employed teaching exclamations is addressed as well. Referencing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tracts fifty six exclamations commonly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These terms are treated to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those Korean expressions which have a corresponding expression in Japanese. And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exclamation’s diverse functions and meanings. This study performs comparative analysis on exclamation words while referencing their treatment in existing discourse analysis studies.
In part four,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offers an educational plan for teaching exclamations to native Japanese speaking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at the beginner level.
In part five, this study conclud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art three and concludes the educational plan of part four. It also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exclamations. Thus it is important that educators effectively convey to their Japanese students these term’s diversity of function and meaning.
It is impossible to imagine a conversation with out exclamations within the realm of effective communication. Yet still, they are an under-researched part of speech. In particular, there is a noticeable absence of studies regarding Korean/Japanese comparative language analysis and of subsequent educational plans. This study addresses the given exclamations’ meaning while referencing discourse analysis and formal definitions. Finally, through the writer’s assessment, it employs comparative analysis. The existing state of Korean/Japanese comparative language analysis in this area is rather weak. Thus, it is this writer’s hope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cornerstone for future studies in this area.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this study. For one, given that this study focuses on high frequency words, there are many terms, each with their own unique functions and meanings, which go unaddressed. Also, while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method based on research, it did not implement a trial study in a classroom situation. Thus this study was not able to fully confirm the method’s potential effectiveness. But it is this writer’s hope that this study serves as a valuable asset for teaching Korean exclamations in the futur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