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의 운영실태 및 강사의 인식 조사 : 경상남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reality of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and After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n addition, th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reality of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and After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n additi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important element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After School English teachers to suggest some way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each elementary school has more than two After School English classes. A class contains average 16-20 students, offers lesson five times a week, and it is divided by their grade. Teachers deal with four areas of English and speak English & Korean properly during the lesson. To qualify as an After School English teacher, it is required B.A in English and certified English test score. Seco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goal for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s reducing household expenditure on education and the expected effect is boosting interests in English and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English. The problem is the inabilit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class. Teachers tend to see their job that gives more leisure time compared with other jobs. Survey data indicates that they exhibit high level of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they are not actively seeking a new job. They, however, perceive that there are some issues with current management of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Third, the teachers' perceptions differ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due to their backgrounds, especially their ages and the period of teacher experience. Also,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positive perceptions on After School English manage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Last, they point out that inhospitable attitude towards After School teachers needs to be resolv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to conduct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more effectively, level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small-sized classes are required. To do so, implementing new payroll system needs to be taken care of. In addition,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and objective criteria of evaluation for teachers will result in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mprovement. Finally,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After School English teachers is absolutely imperative to produce high quality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지역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의 운영실태와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과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강사 만족정도...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지역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의 운영실태와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과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강사 만족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강사들의 고충과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이 더욱 활성화되고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교는 2개 이상의 영어반이 개설되어 있었고, 16명-20명 내외로 학년별 반 편성을 하였으며, 주 5회 수업, 월 수강료는 5만원 내외로 운영되고 있었다. 교재선정과 수업진행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강사들의 영어사용 빈도는 한국어 50%, 영어 50%인 경우가 많았고, 영어의 4영역을 골고루 다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사채용은 비영리단체, 학교 홈페이지, 교육청 채용공고를 통하였고, 학교장과 직접계약 또는 비영리단체 위탁운영이 대부분의 계약형태였다. 채용조건으로는 영어과 전공과 공인어학성적이 필수적이었다. 둘째,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의 목적은 영어 사교육비 절감, 효과는 영어에 대한 흥미유발, 장점으로는 학교 채용 절차를 거친 강사이므로 학원 강사보다 신뢰도가 있다는 인식, 단점으로는 수준별 학습이 어렵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과후학교 영어강사가 된 가장 큰 이유로는 시간활용의 용이함을 들었고, 이직의사는 대부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사로서의 만족수준은 보통이상의 수준이었고, 운영실태 중 주당수업횟수와 월 수강료부분에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반면 반 편성기준과 한 반의 평균인원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었고, 계약형태에 대한 만족수준은 매우 낮았다. 셋째,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은 개인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강사의 만족정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강사경력 기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과후학교 강사직에 대한 만족정도와 영어수업운영 만족정도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반 편성 기준과 평균인원이 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강사로서 직업에 대한 만족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선점으로는 강사에 대한 처우 부분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수업 관련 개선점에 대한 인식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수준별 반 편성과 영어수업에 효율적인 소수정원제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수익자부담형태인 급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방과후학교 강사라는 직업에 대한 강사들의 전문적인 인식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선발시험제도를 도입하는 등 채용조건을 강화하고, 객관적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정기적인 강사평가를 실시하여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강사들이 인식한 개선사안을 현 운영시스템에 반영하기위해서 교육부 및 교육청 관계자와 강사들 사이의 대화채널 구축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