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등 사회주의 사상을 기반을 두고 선전·선동을 기저로 하는 左翼文學은 1920~1930년대 간에 유럽에서 싹트기 시작하여 점점 동아시아에 영양을 미친다. 그중에 좌익희곡의 양식...
마르크스주의 등 사회주의 사상을 기반을 두고 선전·선동을 기저로 하는 左翼文學은 1920~1930년대 간에 유럽에서 싹트기 시작하여 점점 동아시아에 영양을 미친다. 그중에 좌익희곡의 양식은 독일의 노동자 희곡을 시작으로 아주 짧은 시간에 노동자 혁명을 계기로 유럽, 미주, 아시아 지역 등으로 널리 퍼진다. 左翼戱曲은 항상 혁명과 顚覆을 동반하며 부조리한 사회질서를 타파하여 새로운 유토피아(理想鄕)를 추구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아 선전·선동을 기저로 하는 문학 양식이다.
동아시아 삼국 중에 가장 먼저 좌익희곡이라는 양식을 수용한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인 오사나이 카오루[小山內薰]는 ‘새로운 국극’의 수립하기 위해서 외국의 연극의 소개나 배우 양성 등의 점에 있어서 성취했다. 그 무렵에 일본에서 체류하고 있는 한국인과 중국인은 서양의 문예사조를 접하고 문학을 통해서 자기 조국을 구원하려고 한다. 그들의 구성원을 보면 대다수는 일본에서 일하는 노동자, 농민, 그리고 유학생 등 프롤레타리아계층이다.
1927년 3월 임화는 일본 左翼文學 단체 나프(NAPF) 맹원인 김두용, 이북만, 임화, 조중곤, 한식 등과 함께 ‘東京에서 프로예술의 임무를 작품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을 무기로 하여 프롤레타리아 계몽을 실천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하기로 하고 잠정기관으로 제3전선사를 조직한다. 그 주도세력들은 국내 프로문학운동에 적극 가담하여 1927년 9월 카프의 제일차 방향전환론을 주도하면서 개척 동인들과 함께 제3전선사에서 카프동경지부로 조직을 전환한다.
그 무렵에 한국인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체류했던 중국인의 수량도 많았다. 在日 중국인들도 在日 한국인처럼 문예단체나 연극단체를 세우고 일본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가장 눈여겨만한 단체는 바로 中國左翼作家聯盟, 즉 左聯이다. 左翼이란 중국에서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지칭인 것이다. 그래서 左聯의 창립 목적은 카프와 비슷하다. 즉 무산계급문화를 확고하며 전파하려고 설립한 것이다. 그리고 左聯도 카프처럼 동경 지부를 설립한 적이 있었다.
본고는 한·중 양국의 좌익희곡을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작품 속에 나타난 좌익희곡의 특성을 해명하는 것에 첫 번째의 목적을 두었다. 그 후에 마르크스주의비평의 방법론으로 텍스트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비교연구를 하면서 두 나라의 좌익희곡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밝힐 것이다.
한국의 프로희곡 작품과 중국의 左翼戱劇 작품들은 소속된 나라도 다르고 쓰는 언어도 다르지만 그들의 창작동기와 이데올로기는 비슷하다. 모두 노동자나 농민 등 무산계급의 옹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한·중 양국의 프로/左翼작가들은 사용한 프롤레타리아의 이론도 실제로 일본이나 구소련을 걸쳐 한·중 양국에 들어온 것이다. 그래서 Ⅱ장에서 1920∼1930년대에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경로와 수용상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낼 것이다. 그 후에 한국의 프로작가들은 문학단체인 카프를 결성하고, 중국의 좌익작가들은 左聯을 세운 것이 이 장에서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카프와 左聯 두 문학단체의 구성과 그들의 지닌 성격을 구체적인 역사사건의 제시를 통해서 비교할 것이다. 이 두 단체에 대한 연구결과를 사용하여 그들은 맹원, 즉 작가들의 경향성을 연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연극인들이 활동한 도시인 서울과 중국 연극인들이 활동한 도시인 上海의 극장과 연극 정책에 대하여 연구할 것이다.
Ⅲ장에는 양국에서 발표된 구체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비교할 것이다. 특히 내용의 측면에서 보면 양국의 희곡작품에서 나타나는 목적의식론, 저항성, 일제의 대한 태도, 여성해방의 문제 등 주제별로 분류되어 있다. 기법의 측면으로 보면 성사성과 서정성의 차이, 슈프레히콜 양식의 수용문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발생 등 문제를 양국의 희곡 대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과를 내릴 것이다.
Ⅳ장에는 한국 프로희곡과 중국 左翼戱劇의 연구결과를 통합적으로 정리해서 대비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비교문학으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비교의 의의도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