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Chinese learners understand and use Korean auxiliary particle correctly. Korean belongs to agglutinative language while Chinese belongs to isolating language on the languag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o i...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Chinese learners understand and use Korean auxiliary particle correctly. Korean belongs to agglutinative language while Chinese belongs to isolating language on the languag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o it’s difficult for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Chinese to learn Korean particle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ell. The number of the postposition is large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of it, each one takes on various roles. Korean auxiliary particle that belongs to Korean particle is being used well in both spoken language with written language. It plays important roles as much as endings and other Korean particles. (case particles, connective postpositions). In particular, although Korean auxiliary particle belongs to grammatical item, it’s also added to a variety of meanings. So the meaning of the whole sentence may be influenced by it in some cases.
Because Korean auxiliary particle has a meaning characteristic, some Korean auxiliary particles also have some similarities in terms of meaning or syntactic while having a bit of difference. So it’s extremely hard for Chinese to grasp and use Korean auxiliary particle correctly.
In this , the syntactic feature and the semantic function of some Korean auxiliary particles those are used mix with others easily and grasped difficultly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for Chinese learners.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ave been proposed too. Furthermore it has examined Chinese expressions correspond to the semantic function of Korean auxiliary particles.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itl organized 10 Korean auxiliary particles that Chinese learners use mix with others easily among Korean auxiliary particles recognized by scholars mostly. And this l divided these 10 auxiliary particles into 4 parts as ‘Nen(는)’, ‘Do(도), Ggaji(까지), Majeo(마저), Jocha(조차)’, ‘Na(나), Ra do(라도)’, ‘Maen(만), Buen(뿐), PaGge(밖에)’.
As this is aimed at studying Korean auxiliary particles, doing an elementary study on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auxiliary particles first is important. And then it propos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 of the ten Korean auxiliary particles that suggested before. In addition, to have Chinese learners grasp Korean auxiliary more clearly, this combined the Korean auxiliary particles that are used mix with others easily like ‘Do’, ‘Ggaji’, ‘Majeo’, ‘Jocha’ as a part, and after analyses of each part, organi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auxiliary particles in tabular form. Because a tabular form can indic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auxiliary particles more clear.
As mentioned above, I hope that through this research Chinese learners can study Korean auxiliary particles more effectively than before.

본 논문은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보조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언어 형태적 특징이 교착어에 속하기 때문에 고립어에 속하는 중국어를 모국...

본 논문은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보조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언어 형태적 특징이 교착어에 속하기 때문에 고립어에 속하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특성을 잘 갖고 있는 조사를 배우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사는 그 숫자가 많고, 하나의 조사도 그 특성과 의미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맡게 된다. 조사중에서 보조사는 구어나 문어에서 자주 쓰이고, 어미나 다른 조사(격조사, 접속조사)에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보조사는 문법 항목이지만 다양한 뜻을 더해 주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문장 전체의 의미가 보조사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또한 보조사의 의미 특성 때문에 어떤 보조사들이 의미나 통사적인 면에서 일정 부분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중국어권 학습자들한테 한국어 보조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용하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은 중국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혼용하기 쉽고, 파악하기 어려운 보조사들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또한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조사가 가지고 있는 여러 의미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도 함께 살펴보았다.
기존연구에 의하여 학자들에게 인정받은 많은 보조사 가운데 중국인 학습자들이 혼용하기 쉬운 보조사 10개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10개의 보조사들을‘는’,‘도, 까지, 조차, 마저’, ‘(이)나, (이)라도’, ‘만, 뿐, 밖에’의 4 부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한국어 보조사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먼저 한국어 보조사의 개념과 특성을 초보적으로 설명하고 살펴본 다음 위에 제기한 10개의 보조사를 순서대로 각각 보조사의 형태·통사적 특성과 의미기능 및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보조사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까지, 조차, 마저’와 같이 혼용하기 쉬운 보조사들을 한 부분으로 묶고, 각각 항목별로 분석한 후 다시 이들의 통사적·의미적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표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표는 이런 보조사들의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더욱 두드러지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선행연구에서 통사적, 의미적 기능 한 쪽만 치중하여 보조사를 연구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고, 한국어 보조사의 형태‧통사적 특성, 의미 기능 및 중국어 대응표현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사한 의미 기능을 가진 항목들을 묶어서 다시 이 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국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보조사 학습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과 같이 한국어 보조사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학습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