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언어로써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의 쓰기에 나타난 문법오류특성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hearing-impaired who does not use the mother tongue depending upon the visual system far away from the phonoreception can have the difficulties in the circumstance of spoken language with normal people who does not have hearing problem. A hearing ...

The hearing-impaired who does not use the mother tongue depending upon the visual system far away from the phonoreception can have the difficulties in the circumstance of spoken language with normal people who does not have hearing problem. A hearing impaired person cannot fully accept the normal linguistic system which relies on vocal awareness even if he or she uses Korean as the primary language from oral method, which does not mean authentic mother tongue. That can be called as correspondent obstacle rather than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For the search and development, thus, we need to consider the hearing-impaired as the foreign learners who are in the bilingual and bicultural background. Simultaneous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fined as the hearing-impaired who use sign-language as their primary language and Korean as their secondary one in this research. While sequential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fined as the hearing-impaired who use Korean as their primary language and sign-language as their secondary one throughout its acquisition in their college lev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aracterize the syntactic aspects in writng of the hearing-impaired, especiall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inguistic structure in their statement between simultaneous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nd sequential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To specify, twenty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divided from their stage levels in experiencing sign-language and eleven normal college students are expected to perform the writing tasks after watching video clips. Simultaneous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signated to be group one and sequential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signated to be group two.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statement of writing of the two hearing-impaired groups and normal college students’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yntactic aspects including average numbers of sentences, phrases, word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numbers in grammatical errors between the two hearing-impaired groups and normal group,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1 and norm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verbal errors and no difference between group2 and normal group. That means people in group1 share their early stages of their lives in terms of sign-language acquisition and errors of verbal usage when it come to the Korean grammar, their secondary language.
Second, both group 1 and 2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ference from the normal group in the errors in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especially severe in group1. Group 2 which shares the longer period of experiencing oral method has lower portion of the errors in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 both group 1 and 2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ference from the normal group in the errors in usage of connective words.
As a result, the deference between group1 and normal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verall numbers of errors and most severally in the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error types in the statements of the hearing-impaired, it’s very similar to the aspect of mistakes in normal people’s Korean language learning. It often occurred in distinguishing causative verbs from passive verbs, in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in usage of connective words.
Studies on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sign-language was not often conducted from linguistical view points while the one of Korean and other languages is grow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like these day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use of grammatical errors in detail because of the reason. It is needed to be done more studies on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sign-language and Korean from now.

청각에 의존하지 않는 시각체계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의 구어환경에서는 장벽에 놓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구화교육을 받아 1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한다...

청각에 의존하지 않는 시각체계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의 구어환경에서는 장벽에 놓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구화교육을 받아 1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음성-청각체계인 건청인의 언어를 완전히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완전한 모국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언어발달지체라고 하기보다는 의사소통의 장애라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각장애인을 이중언어와 이중문화를 가진 외국인과 같이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로 생각하고 접근방식을 달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화를 모국어로 하여 1차언어로 수화를 사용하며, 2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을 동시적 이중언어로써 수화사용자라고 정의하고, 한국어 구화교육을 먼저 받아 1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고, 대학생이 된 이후 수화교육(문법수화)을 받은 청각장애인을 순차적 이중언어로써 수화사용자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의 쓰기나타난 구문특성을 알아보고 특히 동시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와 순차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간에 담화의 언어구조적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청각장애 대학생 20명(농학교를 졸업했거나 초등학교 이전에 수화를 배운 학생 8명:청각장애그룹 1, 일반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 입학 후 수화를 배운 청각장애학생 12명: 청각장애그룹 2)과 일반 건청 대학생 11명을 선정하고 동영상을 본 후 쓰기과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동시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와 순차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를 그룹1과 그룹2로 배정하고, 건청 대학생그룹과의 쓰기담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구문특성의 양적분석에서는 평균 문장수, 평균어절수, 평균단어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각장애그룹과 건청인그룹 사이의 문법오류유형별 오류수를 측정한 결과는 첫째, 동사오류에 있어서 청각장애그룹1과 건청인그룹의 오류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청각장애그룹2와 건청인그룹의 오류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것은 수화습득시기가 빠르고, 사동-피동을 단어가 아닌 수향(방향)으로 나타내는 수화문법이 익숙한 청각장애그룹1에서 2차언어인 한국어문법의 동사 오류를 빈번히 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사오류에서는 청각장애그룹1과 청각장애그룹2 모두 건청인그룹과 오류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각장애그룹1의 경우 좀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일반학교에서 구화를 사용한 기간이 더 긴 청각장애그룹2, 즉 순차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가 조사오류에서 좀 더 낮은 오류를 범했다.셋째, 연결어미오류에서는 청각장애 두 그룹 모두 건청인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총오류수에서 청각장애그룹1과 건청인그룹의 오류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더 뚜렷이 나타났으며, 오류유형별로는 조사오류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면,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한국어의 오류양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보이는 오류양상과 비슷한 점이 많다. 동사의 경우 불규칙활용이나 사동-피동의 오류가 보였고, 조사나 어미의 쓰임에서도 오류가 나타났다.
다른 외국어와 한국어의 대조분석은 다문화시대를 맞아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농인들의 모국어라 할 수 있는 자연수화에 대해서는 언어학적으로 대조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오류의 원인에 대해 명확히 기술하기 어렵다. 앞으로 수화와 한국어의 대조분석이 더 필요하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