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연구 : 주술,목술 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Collocation is formed by morphemes or morpheme and syntax that prime through combining with syntax or semantics closely. As the choice of the main morpheme select another morpheme which can not arbitrarily change the habitual with the relationship. Th...

Collocation is formed by morphemes or morpheme and syntax that prime through combining with syntax or semantics closely. As the choice of the main morpheme select another morpheme which can not arbitrarily change the habitual with the relationship. The generalized collocation is composed by vocabulary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only study the narrow sense of the collocation- vocabulary collocation.
There are many types of the Korean vocabulary colloca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statistics of the Sejong electric Dictionary’s 9024 collocation, I found that the subject-predicate collocation and verb-object collocation accounted for the entire 84% of the total number of collocation. Therefore, this only study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subject-predicate relational collocation and verb-object relational collocation in Chinese. Basis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refresh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described its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From the meaning and syntax of the of Korean subject-predicate relational collocation and verb-object relational collocation, I analysed the correspondence in Chinese. The main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subject-predicate relational collocation and verb-object relational collocation in Chinese at the semantic level: the consistent meanings and the inconsistent meanings. Inconsistent meanings include: one korean verb corresponds many meanings in Chinese, e.g. the vi ‘나다, 들다’ and vt ‘치다, 보다’; many korean verbs correspond one chinese meaning, e.g. ‘비용이 들다/시간이 걸리다’ all use the same verb of ‘花(cost)’ when translated into Chinese and ‘신발을 신다, 옷을 입다’ all use the same verb of ‘穿(wear)’ when translated into Chinese; the corresponding inconsistencies of the predicate, e.g. ‘말이 곱다, 나이를 먹다’. This is due to the Korean polysemy, synonyms and the different language habi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cond,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subject-predicate relational collocation in Chinese at the syntactic level is: the consistent situations and the inconsistent situations. The inconsistent situations can be divided into corresponding with the Chinese verb-object relational phrases, e.g. ‘비가 내리다’ and corresponding with the Chinese words, e.g. ‘신이 나다’. This is due to the different divisions on the verbs and the means of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rd,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verb-object relational collocation in Chinese at the syntactic level is: the consistent situations and the inconsistent situations. Because of the different word order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consistent situations here mean that the syntactic relations are verb-object constructions, an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word order. The inconsistent situations can be divided into: the correspondence of the Chinese words, e.g. ‘겁을 주다’; the correspondence of linkage verbal phrases, e.g. ‘마중을 나오다’; the correspondence of sbuject-predicate relations phrases, e.g. ‘가슴을 앓다’. This is due to the different the means of expression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and the Korean verb-object relational collocation that are composed by some verbs attach the mark words of the linkage verbal phrases, such as ‘go’ or ‘come’, when they are translated into Chinese.

연어란 어휘소 상호간 혹은 어휘소와 문법소 간의 긴밀한 통사적 혹은 의미적 결합으로 구성된 선택의 주체가 되는 어휘소가 피선택어를 선호하여 함부로 바꿀 수 없는 습관적인 공기관계...

연어란 어휘소 상호간 혹은 어휘소와 문법소 간의 긴밀한 통사적 혹은 의미적 결합으로 구성된 선택의 주체가 되는 어휘소가 피선택어를 선호하여 함부로 바꿀 수 없는 습관적인 공기관계이다. 광의적 연어는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논문은 협의적인 어휘적 연어만 연구하였다.
한국어의 어휘적 연어가 많은 유형이 있다. 본 논문은 『연어 기초 사전』에서 수록된 9024개 연어의 통계하고 분석한 결과 주술관계 연어와 목술관계 연어는 총 연어수의 84%를 차지했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와 목술관계 연어만을 연구했다. 우선 선행연구의 기초에서 다시 연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어의 특징과 판별기준을 제시했다. 그 다음에 의미적으로와 통사적으로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와 목술관계 연어가 중국어에서의 대응관계를 분석했다. 주요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와 목술관계 연어가 의미적으로 중국어와의 대응관계는 의미가 대응되는 경우와 의미가 대응되지 않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의미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다시 일대다 의 경우, 예를 들면 자동사 ‘나다, 들다’와 타동사 ‘차다, 보다’등; 다대일의 경우, 예를 들면 ‘비용이 들다(花费用)/시간이 걸리다(花时间)’의 동사는 모두 중국어 동사 ‘花’와 대응된다, ‘신발을 신다(穿鞋)/옷을 입다(穿衣服)’의 동사는 모두 중국어의 동사 ‘穿’과 대응된다;  서술어의 대응이 서로 다른 경우, 예를 들면 ‘말이 곱다(话好听)’와 ‘나이를 먹다(上年纪)’등이다. 이것은 한국어의 다의어, 동의어의 존재,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언어습관의 차이때문에 이룬 것이다.
둘째, 한국어 주술관계 연어가 통사적으로 중국어와의 대응관계는 대응되는 경우와 대응되지 않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대응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국어 술빈관계 구와의 대응, 예를 들면 ‘비가 내리다(下雨)’ 중국어 단어와의 대응, 예를 들면 ‘신이 나다(兴奋)’등이다. 이것은 한국어와 중국어가 동사에 대한 구분, 그리고 두 언어의 표현 방식의 차이때문에 이루어진 것이다.
셋째,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가 통사적으로 중국어와의 대응관계는 대응되는 경우와 대응되지 않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중국어 단어와의 대응, 예를 들면 ‘겁을 주다(吓唬)’;연동구와의 대응,예를 들면 ‘마중을 나오다(来迎接)’;주술관계 구와의 대응, 예를 들면 ‘가슴을 앓다(心痛)’등이다. 이것은 두 언어의 표현방식의 차이, 그리고 어떤 한국어 동사가 중국어로 번역할 때 연동구의 표지어 ‘去’, ‘来’가 붙어 있기 때문이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