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반 학습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콘텐츠 구성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Recently educational paradigm has been changing due to a drastic development in informa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 tablet PC. However, there are not man...

Recently educational paradigm has been changing due to a drastic development in informa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 tablet PC. However, there are not many mobile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yet which enable Koran language learners to learn based on mobile devices.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 and learning tools based on mobile devices as much as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purposes become various.
Mobile devices based on high performance, portability, accessibility is able to form a variety of contents such as flash card, quiz, game, voice, and video. Thus unlike most mobile contents which simply transfer multi-media materials realized in established web sites or computers or reflect a textbook as it is, mobile contents for Kora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so as to fit to learners, purposes and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features of mobile devices.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are words which have completed their meanings based on Koreans' cultural and social experience, and can express Koreans' unique emotions or feelings. Onomatopoeia is the word made by voice whereas mimetic word is composed of appearance, condition, feelings, because of which their meanings are sensitive and there is difficulty for learners to understand such meanings only with thei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in order to learn Kor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voice or image data suitable for words concerned should be suggested.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compose Kor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mobile contents based on linguistic character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ies.
In the chapter 1, this study disclosed purposes and needs of the study, organized and planned previous studies for this study. In the chapter 2, the study examined functions of mobile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suitable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leanings areas in need of contents utilization, comparing with Korean dictionary for the formation of mobile dictionary and suggesting contents and composition of Koran language dictionary. In the chapter IV, the study examined the need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mobile contents and their definition and features, suggesting methods for video composition to be applied for contents through classification suitable for mobile contents composition. Then it examined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currently introduced into the market. Based on this, in the chapter 5, the study suggested a composition method for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mobile contents dictionary. Lastly, in the chapter 6, disclosing its limits, this study was wrapped up.

최근 급속히 발달한 정보기술로 인해 교육의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수·학습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최근 급속히 발달한 정보기술로 인해 교육의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수·학습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할 수 있는 한국어 학습 모바일 콘텐츠는 많지 않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의 학습 환경, 학습 목적 등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육 방법과 학습 도구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고성능, 휴대성, 이동성, 접근성을 바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는 플래시 카드, 퀴즈, 게임, 음성, 동영상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 형식의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모바일 콘텐츠와 같이 기존의 웹사이트나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단순히 옮겨 놓거나 교재를 그대로 반영할 것이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대상자, 목적, 내용에 적합한 구성으로 한국어 학습 모바일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한국어 의성어․의태어는 한국인들의 문화적, 사회적 경험을 기반으로 어휘의 의미가 완성되어 온 어휘로서 한국인 특유의 감정이나 느낌의 표현을 가능하게 해준다. 의성어는 소리가 언어화 된 것이고 의태어는 어떠한 모양, 상태, 느낌 등이 언어화 된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감각적이어서 학습자가 사전적 의미만으로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를 학습을 위해서는 해당 어휘에 맞는 음성 자료와 영상 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함양 시킬 수 있는 언어 특성에 기반 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모바일 콘텐츠 구성 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고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모바일 기반 학습의 개념과 특성, 구성 가능한 콘텐츠 형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모바일 콘텐츠의 역할과 모바일 콘텐츠에 적합한 한국어 학습 내용과 콘텐츠 활용이 필요한 한국어 학습 영역을 알아보았으며 모바일 사전 구성을 위해 국어사전과 비교하여 살펴 보고 한국어사전의 구성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의성어․의태어 모바일 콘텐츠의 필요성과 의성어․의태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모바일 콘텐츠 구성에 적합한 분류를 제시하여 콘텐츠에 적용할 동영상 구성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현재 출시된 의성어․의태어 애플리케이션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Ⅴ장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모바일 콘텐츠 사전 구성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한계점을 밝히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