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표현 수단이 되므로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곧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를 학습하는 것이다.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목표는 그 언어로 유창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기 ...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표현 수단이 되므로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곧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를 학습하는 것이다.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목표는 그 언어로 유창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기 위함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에 대한 지식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비중이 적은 것이 현실이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들은 문법 위주의 학습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화 교육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일상생활 문화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는 중학국어 교과서의 문학 작품활용하여 종합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문화 교육에 중점을 두어 한국 문화의 다양한 영역을 다루고, 문화의 습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감하고 이해하며 서로의 문화를 나눌 수 있는 문화 교육을 추구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어 교육에 과연 국어 교과서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지 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의사소통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교과서를 사용하면 충분히 국어 교과서로도 한국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고는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는데,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문학의 다양한 영역을 다루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선정해 교과서 분석을 하고, 외국인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그 중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문학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육사의 ‘청포도’, 허균의 ‘홍길동전’, 장영희의 ‘괜찮아’ 3작품을 가지고 교과서의 읽기 전·중·후 구성에 맞추어 생각나누기, 작품 내용 학습, 읽은 후의 학습 활동, 마지막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나누기로 교재를 재구성, 문화 교육을 위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지만, 전 학년의 국어 교과서를 통해 체계적인 수준별 교육을 한다면 한국어 교육의 최종 목표인 의사소통 교육뿐만 아니라 문화, 정서 교육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다.
연구는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이라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문학 작품을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큰 효과를 거두기를 기대한다.

Learning language is experiencing culture where it is spoken as language is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culture. An objective to learn language is to communicate fluently and, for that, knowledge of the culture where it is spoken is required. How...

Learning language is experiencing culture where it is spoken as language is an important means of expressing culture. An objective to learn language is to communicate fluently and, for that, knowledge of the culture where it is spoken is required. However, the thing i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tends to give little weight to cul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of teaching Korean utilizing Korean textbooks used in Korean middle schools by native Korean teachers. Especially, it focuses on cultural education so as to cover various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s culture, not just ‘learning’ culture.
Therefore, the study shows theoretical basis of the argument that it is effective to utilize Korea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proposes the view that it must be possible to teach foreign leaners only with Korean textbooks appropriate for their Korean level because both Korean educations for native speakers and for foreign learners are based on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skill in common.
Conducting literature-based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chosen Korean textbooks which cover a number of kinds of literatures on the basis of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and then, final literatures to teach are selected in the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considering Korean levels of foreign learners. After the analysis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proper literatures for them, it suggest a teaching plan for Korean lesson; sharing opinion on Lee Yook Sa’s ‘green grape’, Heo Gyun’s ‘Tale of Hong Gil Dong(Honggildongjeon)’ and Jang Young Hee’s ‘that’s okay’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ative reading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learning about the literatures, carrying out learning activities after reading, and finally, reorganizing the textbook in a bid to share culture for culture education.
Although the study merely examines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textbook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not only would the education achieve the final goal of communication, but also it would provide additional lessons for culture and emotion if Korean education takes the form of systematic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using Korean textbooks for the whole year of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There is a limitation need to be acknowledged and addressed regarding the study. It is a theoretical approach which has never been implemented for Korean education in practice. Despite of the limitation, it certainl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is study suggests a new direction of the textbook development associated with Korea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culture education utilizing Korean literatures. It is expected that new methods of teaching Korean using Korean textbooks for native students would be actively discussed after the study and those would be successful in practice as well.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