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 나타난 화제 층위 담화표지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se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in academic oral presentation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in real classroom in Korean universit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se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in academic oral presentation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in real classroom in Korean universit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ructure of the academic oral presentation and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was reconstructed and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pattern, the pattern was categorized into 4 types: introducing topics, specifying the following contents of topics, deepening topics, turning topics. Then the oral presentation done by 20 Korean native speakers and 20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in real classroom was recorded. By analyzing those materials of the oral presentation, total frequency in use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and using patterns on each func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o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in the use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unc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ing. Chinese learners focused on using the function of introducing topics and turning topics which were related to the elements of the process in oral presentation. But two problems occasionally appealed when they were introducing the topics. First, after the total topics was introduced, Chinese learners went directly to the main part of presentation without specifying any leads to the sub-topics. Second, they only read the title of the topics without using discourse markers. When the following contents of topics were specified, Korean native speakers focused on using discourse markers to be more comprehensible for audiences, while Chinese learners put more attention on the process of oral presentations and used discourse markers which were frequently used in their native language. The two groups did not use a lot of discourse markers on deepening topics. It is assumed that Korean native speakers went directly to the next part of presentation without using deepening topics discourse markers because the topic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hile Chinese learners went directly to the next part of presentation because they put more attention on the process of oral presentations.
Next, general characteristics can be described as following. First, Korean native speakers often used more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than Chinese learners did. Second,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ore various discourse markers, while Chinese learners used limited expressions repeatedly. Third,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ore colloquial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while Chinese learners use more formal expressions. This is to say,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changing formal expression into colloquial expressions.
Consequently, Chinese learners were poor at using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Therefore this study claimed that using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is needed to be instructed for better use of the academic oral presentation skills in Korean language for Chinese learners. It is important that the education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should emphasize on the diversity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and the recognition of the function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to make the oral presentation progress more rational. It is also necessary to focus on using discourse markers to be more comprehensible for audiences when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is taugh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analyzed the use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in academic oral presentation by analyzing the presentation materials recorded in real classroom and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topic level discourse markers.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들과 모어 화자들이 실제 학문목적 발표에서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비교하여 두 집단 간...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들과 모어 화자들이 실제 학문목적 발표에서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비교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발표의 구조 및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의 분석 틀을 재구성하였고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 기능은 소화제 도입, 소화제 전개, 소화제 심화, 소화제 전환의 4가지로 나누었다. 그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20명 및 그 비교 대상용 자료로 모어 화자 20명의 학부 전공 수업의 실제 발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두 집단의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의 사용빈도와 기능별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화제 층위 담화표지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능별 특징을 살펴보면 중국인 학습자는 소화제의 도입이나 전환, 즉 발표에 흐름에 관련된 요소에 초점을 두어 발표를 진행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인 학습자가 소화제 도입과 전환을 할 때 주제를 도입한 다음에 그 하위 소화제의 시작을 명시하지 않고 바로 발표 내용의 본론 부분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으며 소화제를 도입할 때 담화표지를 사용하지 않고 제목을 그대로 읽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모어 화자는 소화제를 전개할 때 청자 이해에 중심을 두고 전체적으로 파악한 후 자신이 이해한 것을 청자에게 전달하는 반면에 중국인 학습자는 청자의 이해보다는 자신이 진행해 나갈 발표에만 집중해 자신의 모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집단은 소화제 심화 기능의 담화표지를 많이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모어 화자는 주제를 전개할 때 이미 설명을 많이 부여했기 때문에 청자가 이미 이해한 상태로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다고 보고 바로 다음 주제나 단계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고 중국인 학습자는 발표 상황에서 청자의 이해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발표의 형식적인 흐름에 더욱 집착하여 한 주제가 끝난 다음에 바로 다른 주제나 단계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총체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모어 화자가 구두 발표 상황에서 자신이 준비해 온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청중들이 발표자가 무슨 내용을 발표하고 있는지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를 많이 사용한 것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는 자기가 준비해 온 원고를 가지고 그대로 읽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제 층위 발표 담화표지를 적게 사용하였다. 또는 전체적인 화제 층위 담화표지의 사용에 모어 화자는 여러 형태로 담화표지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에 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대부분 한정적이고 정형화된 담화표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모어 화자는 발표할 때 구어체 담화표지를 사용한 것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는 발표할 때 거의 공식적인 형태의 담화표지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학문적 발표 상황에서 문어체 말투를 구어체 말투로 바꾸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볼 때 중국인 학습자가 모어 화자에 비해 화제 층위 담화표지를 구사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의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화제 층위 담화표지에 대한 별도의 학습과 교육이 필요하겠다. 교육에서는 담화표지의 다양성을 강조해야 하며 화제 층위 담화표지의 기능을 인식시켜 발표의 흐름을 잘 드러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아울러 청자의 이해에도 초점을 두어 화제 층위 담화표지를 가르칠 필요가 있겠다. 또는 본 연구가 실제 교실 발표를 녹음한 후 구두 발표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를 갖는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