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영어 문장 처리전략 : 관계절 구문의 중의성 해소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case of relative clause, which is modified by two NPs connected with possessive ‘of’, clause could be attached either of NPs, so it is ambiguous. It is neither obligatory nor automatically resolved. It has to do with language specific element v...

In case of relative clause, which is modified by two NPs connected with possessive ‘of’, clause could be attached either of NPs, so it is ambiguous. It is neither obligatory nor automatically resolved. It has to do with language specific element various across languages.
Whether clause is attached to high position (i.e. Head NP), or low position (i.e. adjunct phrase) is different among languages and it had been studied for years.
There have been theories explaining different strategies of disambiguity in languages. (i.e. Modifier straddling hypothesis, Predicate Proximity & Recency, Construal, Tuning) Along with these theories, there have been L2 researches that study disambiguous strategies. These L2 studies of linguistic performance, which are language specific and L2 sentence processing strategies, help study L2 acquisition.
This focuses on how to process ambiguous sentences when Koreans, who are not fluent English speakers, read English sentence as L2 from the viewpoint of L2 linguistic performance research.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transfer from L1 is detected or general cognitive principle is used. Also studies about ambiguous sentence processing in L2 can show different results along with subjects’ L2 competence and age of acquisition.
Recent studies have showed that Korean prefers high attachment(HA) and English prefers low attachment(LA) or does not have any preference. From this result, if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show preference of HA in English ambiguous relative sentences,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fer of Korean as L1 on English as L2 is shown. If L2 learners prefer LA, it would be followed by general cognitive strategy, or result from learned English attachment preference.
To verify this hypothesis, on-line experiment, self-paced reading task using computer and off-line experiment, questionnaire have been conduct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preference to HA was prominent both on-line and off-line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based on the fact that Korean is the language of HA preferences,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not very fluent English speakers, transferred L1 processing strategy to L2 in disambiguating relative clauses.
Chapter 1 deals with the brief introduction about psycholinguistics and disambiguity strategy in relative clause in sentence processing.
In chapter 2, we introduced the established theories in syntactic processing. Also we deal with the issue on attachment of ambiguous relative clause, which is not explained by general parsing principle. Several theories of reason why generality across languages are not shown are presented.
In 2.2, different features and variations in L2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ge of L2 acquisition are delineated and then, early studies in L2 processing and strategies of attachment in ambiguous relative clause are described.
Chapter 3 is about experiment procedures and results about disambiguity in ambiguous relative clause attachment preference.
In chapter 4, results from experiment in chapter 3 are compared with early studies and considered their causes.
In chapter 5, conclusion in this is made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and Koreans of L2 learners of English are dealt.

소유격 of로 연결된 두 NP 영역을 수식하는 관계절의 경우에, 관계절이 두 NP중 수형도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핵어에 부착되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보충어에 부착되는 중의성을 가지게 된다. ...

소유격 of로 연결된 두 NP 영역을 수식하는 관계절의 경우에, 관계절이 두 NP중 수형도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핵어에 부착되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보충어에 부착되는 중의성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구조적이거나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 간에 보편적이지 않은 언어 특정적 요인이 작용하게 된다. 관계절이 높은 위치(핵어)에 부착되는가, 낮은 위치(보충어)에 부착되는가 하는 것은 언어 간 선호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며,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언어 간 다른 처리전략을 가지는 원인을 설명한 대표적인 이론으로, 수식어걸침가설(Modifier straddling hypothesis), 술어근접성과 최신성(Predicate Proximity & Recency)이론, 해석(Construal)이론, 조정(Tuning)이론이 있었다. 더불어 모국어가 아닌 L2를 대상으로 해서 중의적 관계절 처리 전략에 대한 연구도 있어왔다. 이러한 L2의 언어수행에 대한 연구는 언어 특정적인 처리전략과 L2처리 전략을 연구하여 L2습득 연구에 도움을 준다.
본 논문은 L2 연구의 언어 수행적 관점에서, 영어 실력이 높지 않은 한국인들이 영어를 해석할 때 중의적인 관계절 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L2 관계절 부착처리 연구로 인해 L1에서 L2로의 전이효과가 일어나는지 아니면 보편적 인지처리원리를 따르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L2 중의적 관계절 처리 연구는 피험자의 L2능력과 학습시기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한국어는 높은 부착(High Attachment)를 선호하는 언어이고, 영어는 낮은 부착(Low Attachment)를 선호하거나 어떠한 선호도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그것을 바탕으로, 만약 L2인 영어에서 HA를 선호한다면 L1인 한국어에서 전이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영어에서 LA를 선호한다면 보편적 인지처리원리를 따른 것이거나, 영어의 선호도가 학습된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실험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실험과 질문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높은 부착(HA)을 선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1인 한국어가 HA를 선호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보았을 때, 영어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인의 중의적 관계절 처리는 L1의 처리전략이 L2로 전이된 것으로 보인다.
1장에서는 심리언어학의 특징과 문장처리와 문장이해에 있어서 중의적 관계절 부착의 문제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를 하였다.
2장의 2.1.에서는 문장의 통사처리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소개하고, 언어 보편적 구문분석 원리로 해결되지 않는 중의적 관계절 부착에 대한 문제와 언어별로 수행된 연구결과들을 소개했다. 다음으로 언어 간 보편성이 나타나지 않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들을 소개하였다. 2.2.에서는 L2학습자의 학습시기에 따른 특징과 습득 시기에 따른 L2의 변이성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L2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소개와 L2 연구의 언어처리적 관점을 설명하였고, 마지막으로 L2의 중의적 관계절 부착 처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영어가 높지 않은 수준의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어의 중의적 관계절 부착 선호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원인을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고 기존 연구들과 비교해 보았다.
5장은 맺는말로써, 본 논문의 결론을 서술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과, 영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한국인들에게 유관 학문이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을 지를 제안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