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학습자 등급에 따른 교재구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많아지면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많아지면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등급에 따라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학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문학 작품 감상을 통해 자연스럽게 목표 언어권의 문화를 이해하고 담화적 맥락에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적 효과는 물론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학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이 문학을 감상하고 문화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적으로 문학 작품을 선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학습자 요구에 충실하면서도 교육적인 효과를 주는 작품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기준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한국어 구사 능력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의 모습을 담은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셋째,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주고 학습 동기를 유도할 수 있는 문학 작품을 선택해야 학습 효과가 높다. 또한 넷째,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주제가 담긴 작품을 선정한다. 다섯째로는 학습자가 수용가능한 적절한 분량의 작품이어야 하며 마지막 여섯째, 문학적 가치가 있는 작품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교재 구성 방안을 설계하기에 앞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발행한 기존의 교재를 통해 현재 문학 활용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학 장르, 작품 창작 시대, 학습자 등급별로 통계를 낸 결과, 현대문학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고전문학 중에서는 ‘설화’ 장르의 활용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한 초급 교재에서는 문학이 거의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를 한국어 사용 능력에 따라 초ㆍ중ㆍ고급의 3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등급별로 읽기-듣기-쓰기-말하기의 전 기능이 고루 학습될 수 있는 통합적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통해, 중급 단계에서는 고소설 <흥부전>을 활용하여, 고급 단계에서는 고소설 <춘향전>과 현대시 <추천사>를 감상하고 고전문학의 다양한 현대적 재창조 양상을 살펴보며, 외국소설 <로미오와 줄리엣>과 비교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해 보았다.
고전문학을 문학 텍스트로 활용한 이유는 고전문학은 현대문학에서 학습하기 힘든 한국의 전통 문화와 생활, 역사를 배울 수 있으며 더불어 세계의 보편적 주제는 물론 한국의 고유하고 특수한 문화와 정서를 학습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고전문학은 시대를 초월하여 문학의 예술적 가치를 검증 받은 것이므로 문학을 감상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기준에도 합당하다.
본 연구는 다소 연구가 미미한 분야인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학습자를 등급별로 나누어 교재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목표를 두었다. 또한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문학을 활용한 교육이 보다 활발하고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의의를 둔다.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문학 활용 교육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다양한 교재, 수업 모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have led to active research and study into educational techniques that utilize literary text.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ed herein a...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have led to active research and study into educational techniques that utilize literary text.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ed herein attempts to propose a plan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utilize classical literature for each level of learner proficiency.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ture allows people to learn the concerned language from a colloquial angle, through natur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s culture during appreciation of literary artworks. In addition, it offers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Korean literature appreciation. In particular, Korean education for adults needs to be taught in a manner as to allow the learners to appreciate literature and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Accordingly, establishment of clear standards for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us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must be preceded and such standards must allow for use of literary works that are capable of staying true to the demands of the learners while offering educational effects. Following is a brief introduction to such standards:
The standards must take into account the learner's level of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and lead to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hat encapsulate Korea's culture and the features of her peopl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hat are capable of captivating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and motivating their pursuit of the Korean language will produce greater learning results. Such literary works must also deal in general subjects the learners can associate with and be of lengths that the learners can digest. Lastly, it's important to select works with literary values.
Prior to designing a detailed textbook development plan, existing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group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atus and issues of today's literature-based education. Converting the analysis results into statistical figures of literature genre, creation era, and learner proficiency level revealed that a large number of modern literature was being used and that use of classical literature was emphasized on the narrative novel genre. In addition, use of literature was virtually nonexistent in novice-level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Korean learners into 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and presents a comprehensive textbook development plan that allows for thorough learning of all linguistic functions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for each of the proficiency levels. A textbook was developed to facilitate learning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appreciation of the narrative novel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for the novice level, the classic novel Heungbujeon for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classic novel Chunhyangjeon and the contemporary poem Chucheonsa for the advanced level and comparison of the British tragedy Romeo and Juliet.
Classical literature was used as study text because it allows people to learn Korea's traditional culture, livelihood, and history and along with subjects that are general throughout the world the unique culture and semantics of the Korean people, all of which contemporary literature do not do a particularly job of. What's more, classical literature has passed the test of time and has been acknowledged for their artistic value. Because of this, they meet the standard that calls for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appreciation of literature.
The study presented herein kept the objective of selecting literary works from classical literature and categorizing learners into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in presenting a method of textbook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a more active and diverse application of literature at Korean learning sites.
From hence forth, effective use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require continued and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subject and development of diverse teaching materials and model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