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 서점을 위한 문화관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헌책방과 새 책방이 공존하는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은 역사·문화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오래된 책 문화 본 연구에서는 책을 통해 경험과 지식을 쌓고 구성원들로부...

헌책방과 새 책방이 공존하는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은 역사·문화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오래된 책 문화 본 연구에서는 책을 통해 경험과 지식을 쌓고 구성원들로부터 배우고 전달받은 모든 것들을 ‘책 문화’라고 말한다. 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서적의 유통체계 불균형과 콘텐츠의 부족으로 문화 매개체로서 종이 책은 하향세를 보이고 있으며 보수동 책방골목의 가치 또한 쇠퇴하고 있다. ‘보수동 책방골목’의 헌책방들로 이루어진 좁은 골목길이 예전의 정서를 자아내줄 수는 있지만 살아가는 방식의 변화와 지역의 정체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발성의 사업들 등으로 예전과는 조금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책방골목의 정체성을 어떻게 간직하고 얼마나 담을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본 연구는 보수동의 ‘역사와 변천과정’, 골목서점과 책방골목 길과의 ‘공간적 특성’, 이용자의 ‘인지범위’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과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부재에 대한 대안을 알아보았다. 또한 보수동 책방골목의 기존 물리적 환경과 각 서점들과의 연결 관계를 형성하기위해 새로운 운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시된 시스템이 새로운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골목서점 상인들의 의식함양과 더불어 방문자의 욕구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인 책방골목 문화관을 제안한다. ‘전통문화거리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지어진 기존의 ‘보수동 책방거리 문화관’은 책전시관, 북 카페를 비롯하여 보수동 책방골목을 위한 지원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2016년인 현재, 이 시설은 책방골목을 위해 얼마만큼 지원하고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 이에 연구자는 골목서점과 상생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책방골목과의 연계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여 필요공간을 도출하고, 온라인에서의 정보공유 및 통계를 낼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여 구매 및 대여가 가능하도록 접근성을 갖춘 공간인 ‘책방골목 문화관’을 제안한다.

The bookstore alley located at Bosu-dong, Busan where secondhand bookstores and new bookstores coexist, have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nd gives the long book culture This study refer all things that include experience and knowledge through...

The bookstore alley located at Bosu-dong, Busan where secondhand bookstores and new bookstores coexist, have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nd gives the long book culture This study refer all things that include experience and knowledge through books and have been learned and transferred by members to ‘book culture.’ of our country. However, due to the imbalance of the distribution system for books and lack of contents, the book as a cultural medium shows a downward trend, and the Bosu-dong bookstores ally are also declining. The narrow alley of ‘Bosu-dong secondhand bookstores’composed of secondhand bookstores may give the past flavor but the change of lifestyle, generations that are unfamiliar with books and temporary businesses show a little different aspect compared to the past. In that point, the way and amount to conserve the identity of the bookstore alley should be a matter of a concern. Based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Bosu-dong’, ‘spatial characteristics’of the alley bookstores and bookstore alley, the ‘cognitive scope’of users and ‘connectivity’with the currently progressing programs, this study examine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absence of cultural contents. Furthermore, in order to form the connection and relationship of the existing physical environment in Bosu-dong with each bookstore, it suggests a new operation system. For the smooth performance of new roles by this system, it suggests the improvement of alley bookstore shopper‘s consciousness and the space to satisfy the visitor’s desire. There are support facilities for the cultural center of Bosu-dong bookstore alley that was built as part of ‘Development Project for Traditional Cultural Streets’including a book exhibition and a book cafe for the Bosu-dong bookstore alley. However, as of year 2016, the facilities are in question about how much the facilities are supported and utilized for the bookstore alley.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connected programs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cases as part of the plan for the coexistence with the alley bookstores, and suggests necessary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Cultural Center for the Bookstore Alley’with accessibility to purchase and rental by implementing a server that can make information share online and statistic possible.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