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기혼여성의 일-가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고학력 기혼여성이 일-가족 관계 안에서 처한 상황과 지나온 경험을 이해하고 일과 가족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가치 그리고 실천하는 구체적 경험을 밝혀 그들의 노동권과 부모권...

본 연구는 고학력 기혼여성이 일-가족 관계 안에서 처한 상황과 지나온 경험을 이해하고 일과 가족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가치 그리고 실천하는 구체적 경험을 밝혀 그들의 노동권과 부모권을 보장하고 지지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적용하여 현재 일하고 있는 고학력 기혼여성 8명을 심층면접 하였다. 이들의 내러티브를 토대로 고학력 기혼여성의 공통된 성인기 발달경험, 경력 유지와 단절의 경험 그리고 전일제와 시간제 노동에 따른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인기 발달경험에서는 발달과제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사회적 적응을 이루고, 사회적으로는 남편과 자신을 동일 선상에서 바라보고 있었다. 경력 유지와 단절에 따른 차이에서는 전업주부의 경험에 따라 일, 육아, 자녀와의 관계에서 다른 관점이 드러났다. 그리고 전일제와 시간제 노동에 따라 노동자로서 다른 정체성과 시간사용 인식 등이 나타났다. 즉 고학력 기혼여성이 일-가족 관계 안에서 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과 일-가족 대한 지향상태를 발견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고학력 기혼여성의 보다 나은 일-가족관계를 지지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여성의 경력단절을 생애주기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이탈로서만 바라보는 분절적 관점의 한계를 비판함으로써 고학력 기혼여성들의 노동시장 재진입과 관련하여 경직된 노동문화와 조직문화에 대한 성찰과 변화의 노력, 그리고 유연한 일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직무설계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carries out the policy implications on supporting and ensuring the right to work and the parent right of highly-educated and married wome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past experiences and current situation relevant to work-family relations,...

This study carries out the policy implications on supporting and ensuring the right to work and the parent right of highly-educated and married wome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past experiences and current situation relevant to work-family relations, and finding out their interest, values, and specific experiences of work and family.
In this research, eight highly-educated and married women were interviewed in depth using the narrative inquiry. The texts from their narratives are analyzed in terms of adulthood development, the differences between career-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nd the differences in job experiences between full-timer and part-tim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ir adulthood development, they have faithfully achieved the social adaptation as performing the developmental tasks and perceived their husband same level of social position as their level. In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continuity and discontinuit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work, parenting and the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depend on whether they used to be full-time housewife or not.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full-timers and part-tim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identities as workers and cognition of time use etc. In the process of analyzing, it is figured out the change of identity and intentional states for work-family relations of highly-educated and married women.
In conclusion, alternatives are suggested to enhance the work-family relations for highly educated and married women.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confining women’s career-discontinuity to breakaway from the labor market happening in their life cycle has exposed the limitation of segmented perspective. It is suggested that there needs to a concrete design for flexible jobs enabling highly- educated and married wome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as well as an effort to improve organizational and labor culture through self-examination.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