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 국내 체류 이주 노동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trend of growing and accelerating an immigrant population is to be an common situation of entire world. Korea also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pparently. we are saying 21Century is information society. so we have an high possibility to s...

The trend of growing and accelerating an immigrant population is to be an common situation of entire world. Korea also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pparently. we are saying 21Century is information society. so we have an high possibility to suffer in social adaption when we are lack of IT knowledge, and this deficiency can bring a social isolation. with an appearance of new media SNS, our society requests a comtemporary people more sophisticated IT communication ability and this historic demands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isolation to certain class.
Despite of this kind of social background, social media has not so long history. So the number of media entity is limited and they tends to lean on just certain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immigrant workers who are considered as most vulnerable group in society and investigate about their social media activity. Furthermore, this study aim to remind the systematic attention and propose our things to do.
The questionnaire made in 5 languages and it is conducted 2 times on measuring the result. The result showed immigrant worker's SNS using is motivated on aspects of information and fun giving. this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with existing study which showed the motivation of SNS was information giving and self-expression. And the more use SNS, the more easily catch his/her merit and demerit, and get more confident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have fun to get acquainted with new friend. With this result can infer that the good use of social media can solve information isolation and social maladaptation. Immigrant workers felt difficult to their own language service and uniformly urge the need of way to media use and Korea language education. In thought of media, they expressed mostly affirmative as 'necessary', 'comfortable', 'positive' and they described positively about communication on internet. Also, they gave highly positive answer on country Korea and life in Korea and showed high attention on Korea culture and Korean study. However, they expressed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caused by lack of Korean ability also they answered the difficulty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these result, we can guess they need the education of SNS usage, and Korean education support, their language service. If these problem solved, they can get a more chance to interact with Koreans. And we prospect cautiously, near future we can see the social maladaptation and information isolation can be decreased or prevented.
Many other side effects caused by information isolation and social maladjustment should be solved in long term basis because of their complexity and profoundness. So that reason, we can't assure only good use of SNS can cure all of other social problems but good use of the SNS can incur obviously positive and visible fruit to solve the social problem.

이주 인구의 증가 양상과 가속화는 전 세계적 현상으로 2000년대 이후, 한국 역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사실을 부정할 수 없게 되었다. 21세기는 정보화 시대로 정보 통신 관련 지식의 처리 ...

이주 인구의 증가 양상과 가속화는 전 세계적 현상으로 2000년대 이후, 한국 역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사실을 부정할 수 없게 되었다. 21세기는 정보화 시대로 정보 통신 관련 지식의 처리 능력이 부족할 경우, 타인과의 소통은 물론 사회 적응 측면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능력의 부재는 소통의 단절로 이어져 개인의 소외와 사회적 고립을 불러올 수 있다. 소셜 미디어라는 신매체의 등장을 말미암아 사회는 현대인들에게 보다 정교한 수준으로 정보 처리 능력을 배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일부의 특수 계층들이 겪을 수 있는 정보 소외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위와 같은 사회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는 아직 그 역사가 길지 않아 기존 미디어 연구에 비해 개체 수가 많지 않고 대상 또한 일반 집단에 국한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특수 계층 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취약한 이주 노동자를 조사의 대상으로 선정해 해당 집단의 소셜 미디어 사용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관심 환기와 앞으로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다섯 국가의 언어로 구성된 설문지를 결과의 주된 측정 도구로 삼아 총 2회에 걸쳐 설문을 진행한 결과, 국내 체류 이주 노동자의 경우 정보 측면과 즐거움 부분에서 강한 사용 동기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 측면과 자기표현의 동기가 강하게 나타났던 기존의 선행 연구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결과였다. 더불어 소셜 미디어의 사용 체감 빈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장점 및 단점의 발견의 정도가 높으며, 타인과의 소통에 자신이 생기고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것에 재미를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소셜 미디어라는 매체의 장점과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경우, 정보 소외 현상의 해소와 사회 적응 문제에 소셜 미디어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이주 노동자들은 소셜 미디어 사용 시 모국어가 지원되지 않아 불편을 겪고 있었으며 매체의 사용법과 한국어에 대한 교육 지원 또한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매체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는 ‘필요하다’, ‘편하다’,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등의 반응이 높았으며 인터넷을 통한 소통과 교류에도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과 한국 생활에 관한 항목에서는 대부분 매우 높은 수준으로 긍정적 응답을 내놓았으며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 공부에 높은 흥미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불편 요소 측정 항목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 실력의 부족으로 인한 의사소통 불편,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실감하고 있는 사용자 또한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사용법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한국어 교육 지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매체 내 모국어 사용 지원 문제가 해결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국 사람과의 접촉 기회가 많아진다면, 가깝고도 먼 미래에 발생하게 될 문제들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예방될 수 있지는 않을까 조심스레 짐작해보곤 하였다.
정보 소외 현상과 사회 부적응으로 인한 기타의 부작용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결해가야 하는 복합적이고 난해한 문제들이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의 올바른 활용이 그 모든 문제들의 해소책이 될 것이라 단언할 수는 없지만, 해당 매체의 장점을 잘 활용한다면 분명 긍정적이고 가시적인 결과를 목격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 생각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