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연구는 새터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자리매김에 있어서 중요한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새터민의 국내 ...

이 연구는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자리매김에 있어서 중요한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새터민의 국내 유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새터민 청소년의 수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제 역할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교육적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
2장에서는 자아정체성과 언어의 관계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밝히고 3장에서는 새터민 청소년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새터민 청소년의 인구학적 현황과 자아정체성 형성 관점에서의 특징을 파악하고 언어 사용 실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았다. 새터민 청소년이 남한 사회에서 적응해 나가는 데 있어 자아정체성 정립의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학교 적응, 사회 적응에도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아정체성 정립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하나인 언어에 대한 중요성을 살펴본 후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4장에서는 새터민 청소년이 교육 받고 있는 기관을 입국 초기 적응 교육기관과 정착지 교육기관으로 나누어 한국어교육과 자아정체성 교육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은 새터민 청소년이라는 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한편, 앞으로 이들이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것을 고려하여 보편적인 교육이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의 특수성은 교육목표에서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의 교육목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세웠다. 학교와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것을 교육목표로 세웠다. 한국어교육을 통해 사회문화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자신이 속한 사회 안에서 존재 의미를 깨달아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행되어 남한 사회에서 새터민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easures that 'Sae tomin' ­ new settlers or North Korean defectors­ adolescents to form its self identity important in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and placing themselves as a member of a society....

This study is a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al measures that 'Sae tomin' ­ new settlers or North Korean defectors­ adolescents to form its self identity important in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and placing themselves as a member of a society. The inflow of Sae tomin to South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which increments the number of Sae tomin adolescents. Educational support and study is needed for them so that they can play their rol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Chapter II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language through theological contemplation and Chapter III sought out the current status of Sae tomin adolescents. The demographic current status of them and characteristics in the view of self-identity formation was apprehended and its relativity with the actual language usage condition was analyzed. They are having a difficultly in formation of self-identity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which deeply affects their adaptation to school and society, also. After the importance of language, one of the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s formation of self-identity, was reviewed, the ne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mphasized once again.
Chapter IV divided the institutions where the youth are educated into those for adjustment at the early stage of entry into South Korea and those for education in the settlement,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lf-identity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ims for Sae tomin adolescents considered the speciality of the group, the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while a universal educational ideology was intended to apply, considering that they will, for the future, grow into members of Korean society. The specialty of Sae tomin adolescents was reflected specifically on the educational purpose and on the basis of that,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was intented to be suggested.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which objects are Sae tomin adolescents was set up largely in two directions such as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needed for school and society life and to form self-identity, so that through Korean education, they can grasp sociocultural knowledge and realize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n the society where they belong, thus form a positive self-identity.
It is hop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ae tomin adolescents will continuously be performed so that they can healthily grow up in South Korean society.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