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Due to the lots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has been increased and thus the offsprings from unstable one are coming up. As the educational importance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embossed with increased number o...

Due to the lots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has been increased and thus the offsprings from unstable one are coming up. As the educational importance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embossed with increased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the concerning about that has been increasing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bodies.
This study is aimed to search for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related with Korean Eduction Broadcasting system, now being processed and prepared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also aimed to grope for the direction for improving policies for them.
In an attempt to reach it's desired result, this research is schemed to handle the following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and also its children's education, this study is planned to look over its concept, in chapter Ⅱ,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in chapter Ⅲ, political support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Ⅳ, the trait of Korean language and its problem emerging in multi-cultural family in chapter Ⅴ, sugges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ts family in chapter Ⅵ, and finally some tasks to handle hereafter in chapter Ⅶ.
From the bases of this study, some tasks to handle hereafter are as followings.
First, From the aspect of system, there should be a kind of passive law that is restricting strongly the discrimination about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also a kind of active law that is giving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 such as Affirmative Action in America.
Second, the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s important as the systematic support. In education for the family, there should be not only the systematic education toward multi-cultural family, but also awakening education toward all the nation. And also this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at every field such as schools, houses, public institutes, and various groups in combined operations.
Third, it should be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for us to throw away our anti-atmosphere toward multi-cultural family. Actually it has not been long since we used the phrase of multi-cultural family.
Furthermore, in order to help the children depending on their growth process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 there should be specialized training and then dispatching trained experts to childcare centers. Second, deep-rooted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through marriage are to be hired as helpers for the school life guidance.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can get very meaningful opportunity for themselves in terms of their bilingual ability.
As we see from this stud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present multi-cultural family in our society is only on the first step. The language education for their infants, bilingual education, intermediate lingual and social program for the immigrated infants and children,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etc. are only stepping out at present. And some colleges, social groups, public schools, and some religious circles are carrying those programs out sporadically. These various streams could be put into much more multi-cultural family friendly policy and system than ever before depending on the level of intimated discussion, communication net works between leading groups. Though a time asks for change, the power for change is just around the corner.
Through our permanent affection and interest toward multi-cultural family and its children and also our deep hearted trust for creating new harmonizing culture together, the advent of multi-cultural society for coexistence and inter-prosperity will be advanced.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불완전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양산되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구성이 농촌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이제 도시 지역에서도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불완전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양산되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구성이 농촌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이제 도시 지역에서도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으로 해서 정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자체 등에 이르기까지 이들을 위한 국가 ․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효율적인 한국어교육 방안에 대해 이주여성과 자녀의 현황을 분석 ・ 검토하고 정책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II장에서는 한국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교육현황 Ⅳ장에서는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에 대해, Ⅴ장에서는 다문화가정에 나타나는 한국어 특징과 문제점, Ⅵ장에서는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을 Ⅶ장에서는 향후과제를 다루었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차별 행위에 대한 엄격한 금지와 같은 소극적 조치에서부터 미국의 소수인종 우대 정책(Affirmative Action)과 같은 적극적인 다문화가정 자녀 우대 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제도적 지원 못지않게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 또한 크다. 다문화 교육에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전 국민의 다문화 수용에 대한 의식 교육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은 학교, 가정, 공공 기관과 단체 등에서 입체적이고 단편적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우리의 다문화에 대한 반정서 의식을 벗어버리는 것 또한 무엇보다 절실하다. 우리가 다문화가정이라고 미화해서 부르게 된 것도 그다지 오랜 일이 아니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장단계에 맞는 언어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보육시설에 파견하고 둘째, 한국에 이미 정착한 결혼이민자를 통역가로 양성해 학교생활 상담 통역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문화 가정은 어쩌면 우리에게 주어진 좋은 기회일 수 있다. 두 가지 언어를 쓸 경우 한국과 어머니의 나라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는 여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현재 우리 사회의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교육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유아 언어교육, 이중 언어 교육, 이주 아동․청소년을 위한 완충적 언어․사회적응 프로그램, 다문화 교육, 전담 부서를 통한 체계적 한국어 교육 시스템 구축 등은 아직 논의의 수준에 머물거나 대학과 사회단체, 공립학교, 종교단체 등에서 산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흐름은 주체들 간의 긴밀한 논의와 네트워크 형성, 다문화 사회로의 불가피한 이전에 따른 다수자의 의식변화와 내적역량의 성숙에 따라 점점 더 다문화 모델에 가까운 정책과 제도로 수렴될 것이라 생각한다. 변화는 시대의 요청이지만 변화의 동력은 가까운 곳에 있다. 다문화 가정과 그 자녀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 새로운 문화 창조의 가능성에 대한 소박한 믿음으로부터 공존과 상생의 다문화 사회의 도래가 앞당겨 질 것이라 생각한다. 본 논고가 앞으로 우리사회의 다양성을 안내하고 한국어교육에 도움이 되는 단초가 되어지길 감히 기대해본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