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의 경어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외국인 학습자가 반드시 습득해야 할 경어법 교육에 문법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실제적 언어 사용에 바탕을 둔 사회적 요인, 맥락을 고려한 사회...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외국인 학습자가 반드시 습득해야 할 경어법 교육에 문법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실제적 언어 사용에 바탕을 둔 사회적 요인, 맥락을 고려한 사회언어학적 접근법이 필요하며 이것이 교재와 교수 방법에 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보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접근으로서의 경어법과 실제적 접근으로서의 경어법을 살펴보고, 이론과 실제에서 경어법이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경어법은 어떻게 기술되고 있으며 호칭과 상대경어법은 어떻게 공기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또한 교재에 나타난 대화문의 정보제시 문제점 및 오류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경어법 및 대화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급·중급·고급으로 나누어 경어법 기술내용과 대화문에서 반영되어야 할 사회언어학적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주체경어법은 초급에서 ‘-시-’와 ‘-께서’를 사용하는 것을 동시에 교육해야 하며, ‘-시-’ 는 시제를 나타내는 ‘-았-’이나 ‘-겠-’보다 앞에 위치하며, 단어 구조를 분석해 보이면서 통합 순서를 강조하여야 한다. 또한 중급에서는 높임의 대상이 되는 인물과 관련된 신체의 일부나 소유물 등이 주체인 문장에 쓰여 그 인물을 간접적으로 높이는 간접 존대의 형태를 교육해야 한다. 또한 압존법에 대한 내용도 간략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상대경어법은 일상 대화에서 많이 쓰이는 ‘해요체’를 먼저 기술하고 ‘하십시오체’, ‘해요체’, ‘해라체’의 순서로 기술되어야 한다. ‘하게체’와 ‘하오체’는 고급에서 이해 영역으로 이에 관여하는 사회적 요소와 함께 제시해야 한다. 또한 ‘해요체’와 ‘해체’의 경우 억양에 따라 문장 형식이 달라짐을 제시해야 한다.
객체경어법은 교재에 기술하기보다는 객체를 높이는 어휘인 ‘주다(드리다)’, 묻다(여쭙다), 만나다(뵙다), 데리다(모시다) 등이 있음을 설명하고, ‘-께’는 부사어를 높이는 어휘인 ‘드리다’와 ‘여쭙다’와 호응 한다는 것을 제시해야 한다.
어휘적인 경어법은 그 사용이 문장의 쓰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각각의 예를 들어 설명되어야 한다.
또한 교재의 대화문이 학습자가 실제 언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먼저 경어법 기술내용을 대화문에 반영해야 하며,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대경어법의 실제적 사용양상이 반영되어야 하며, 대화 참여자 관계, 대화 상황을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이 논문은 교재 비교를 통해 경어법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방안과 개선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대화문 개선에 있어 상대경어법 화계의 따른 차이를 세밀히 살펴보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not only grammatical skills but social and linguistic approach considering social factors and the context based on actual language use are needed in the honorific manner education which foreign learners should acqui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not only grammatical skills but social and linguistic approach considering social factors and the context based on actual language use are needed in the honorific manner education which foreign learners should acquire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I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nking that the above mentioned cont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The honorific manner in the Korean language are roughly divided into subject honorific manner, object honorific manner and counterpart honorific manner and I will examine in which order honorific manners in each rank are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see if social and linguistic contents are reflected in honorific manner descriptive information. Also I will analyze actual usage patterns of the honorific manner, limiting the range to conversations presented in the body of each textbook. And I will investigate the use types of titles in conversations and review right match relationship of counterpart honorific manner and titles. In addition, I will show errors about the honorific manner not used in actual conversation.
I will review the problems of the honorific manner education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by analyzing techniques and dialog texts on the honorific manner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sing a social and linguistic framework related to the honorific manner and show improvements of the honorific manner contents.
In chapter 2, I will look into the honorific manner as a practical approach and the honorific manner as a theoretical approach and analyze how the honorific manner is being used differently in theory and practice.
In chapter 3, I will analyze how the honorific manne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s described and how counterpart honorific manner and titles are matched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problems and errors of conversations represented in textbooks.
In chapter 4, I will present improvements of conversations and the honorific manne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information shown above. And I will present descriptive contents of the honorific manner by each rank and social and linguistic factors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conversations.
Finally in conclusion, I will organize·summarize the contents we have examined so far and present the prospects for research on the honorific manner of Korean language. Techniques on all the honorific manners should present clearly and specifically not only grammatical techniques but social and linguistic knowledge.
However, the honorific manner techniques mainly covered contents only on counterpart honorific manner and there were a few techniques on subject honorific manner and object honorific manner. So the specific technical information on honorific manner technique contents must be supplemented. Also, in order to raise the ability of learners which can deal with the actual language situations using conversations in textbooks, honorific manner technique contents should be reflected in conversations in the first place,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should be presented. And the practical usage patterns of counterpart honorific manner should be reflected and relationship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dialogue situations should be clearly presented.
This has significance in terms that it presented specific educational plan and improvements on honorific manner techniques through textbooks comparison but has limits that it did not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opics of counterpart honorific manner in improvements of conversations. I hope that much further researches on this topic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