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을 위한 토론 수업 모형 개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토론은 두 사람 이상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찬·반으로 나뉘어 주어진 문제나 쟁점에 대하여 자신의 주장을 논증하는 상호 의견 교환 행위이다. 토론을 통해서 익히게 되는 비판적 사고력과 ...

토론은 두 사람 이상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찬·반으로 나뉘어 주어진 문제나 쟁점에 대하여 자신의 주장을 논증하는 상호 의견 교환 행위이다. 토론을 통해서 익히게 되는 비판적 사고력과 논리적인 담화 구성 능력은 자신의 의사를 피력해야 하거나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만나게 될 분쟁의 상황에서 합리적인 대처를 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이러한 유용한 도구를 한국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는 없을까 하는 고민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토론을 활용하여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수업 모형을 마련하는 데 있다. 기존의 토론 수업 모형은 국어과 교육의 토론 수업 모형을 가감 없이 차용하거나 몇 가지를 추가하여 고안한 형태였다. 타 교과목의 토론 교육 목표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토론 교육 목표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타 교과목의 수업 모형을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 더군다나 토론은 한국어가 모어인 학생들조차 쉽지 않은 영역인데 언어 능력이 모자라는 외국인 학생들에게 처음부터 토론의 엄격한 규칙과 형식을 적용하는 것은 올바른 설정이 아니다. 이 연구는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토론 수업을 수행할 때 토론 수업의 목표는 어디에 두어야 하며 그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한 토론 수업 모형은 어떻게 고안하여야 하는가를 핵심 연구 문제로 삼았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토론의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한국어 교육의 토론 수업 모형은 수업의 목표 설정부터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토론 수업의 목표를 한국어 언어 능력 향상으로 설정하였다.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한국어 토론 수업에서 활용될 토론의 개념부터 설정하였다. 토론이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므로 수업에 적용할 토론의 개념을 한정했다. 그래야 분명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수업 모형을 구안할 수 있다.
둘째, 현재 한국어 교육의 토론 수업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토론 활동을 검토해 보고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후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기존의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과 방안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각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실제 실행하고 있는 토론 수업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셋째, 한국어 토론 수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의 개발 원리를 제시하였다.
넷째,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의 개발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어 토론 수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수업 구성을 한 후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이 간과하고 있던 여러 문제의 해결책을 반영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토론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을 직접 시현해 보고 수업 지도안까지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focus of this thesis is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to utilize debate classes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to foreign students. Traditional debate classes already in existence have borrowed from Korean language class models either without having...

The focus of this thesis is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to utilize debate classes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to foreign students. Traditional debate classes already in existence have borrowed from Korean language class models either without having made the appropriate adjustments or with a number of elements extemporaneously added. It is expected that the objectives of debate classes of other higher education disciplines will differ from those of a Korean language class for foreigners, and it can be irrational to adapt models of the former for the purposes of the latter. Debates can pose significant challenges even to native Korean students, thus it would be unfitting to press the rigorous rules and formalities of debates on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llowing a review of the pre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debate and defines the objectives. It explores how the debate model presented below can be applied to existent debat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courses, analyzing potential problem areas and drawing on survey responses on current practices at Korean language departments of numerous universities. The study then sets forth a theory to address the potential problems and to improve the present state of debate utilization in Korean language courses. After establishing the theory as the background, a constructed model for Korean language debat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is presented. The model is designed to reflect the problem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previous Korean language debate courses and to be applied within the classroom.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